· 강성원, 「조직문화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8년.
· 강흥구, 「조직문화가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년.
· 김소연, 「종업원의 개인주의, 집단주의 성향과 조직공정성 인식이 조직시민행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년.
· 김순자, 「한국과 미국 광고의 문화적 성격에 관한 연구 :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문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년.
· 김치풍, 「장자로부터 배우는 소통의 지혜」, 삼성경제연구소, 2010년.
· 김현기, 「세대 다분화 시대에는 세대 공감 HR로」, 『LG Business Insight』, 2010년 11월호.
· 류수민, 「세대별 제품 인터랙션 사용 경험 차이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년.
· 박진성, 「Y세대 그 잠재력을 뛰놀게 하려면」, LG경제연구원, 2010년.
· 박진성, 「직장 내Y세대에 대한 오해와 Y세대 리더쉽」, LG경제연구원, 2009년.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부, <정보화로 가는 길>, 2000년 8월호.
· 왕이원, 「조직문화가 조직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한 연구 : 조직문화의 핵과 무게중심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년.
· 엄동욱, 예지은, 「조직 내 소통 활성화를 위한 제언」, 삼성경제연구소, 2011년.
· 예지은, 「“BRAVO Generation” 新세대 직장인을 말하다」, 삼성경제연구소, 2009년.
· 예지은, 「신세대의 특성과 조직관리 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11년.
· 원문빈, 「기업문화 유형에 따른 조직 구성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조직몰입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2년.
· 윤우근, 「‘양날의 칼’ 조직 다양성 다루기」, 삼성경제연구소, 2011년.
· 이민성, 「조직문화의 조직몰입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년.
· 이종두,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6년.
· 전영재, 「대한민국경제 60년의 대장정」, 삼성경제연구소, 2008년.
· 정승균, 「기업 내 세대 차이와 갈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년.
· 정호성,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2010년.
· 조영호, 「21세기 한국인: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의 통합」, 『인사관리』, 2000년 1월호.
· 진현, 박성민, 「가치창출의 새로운 원천, 집단지성」, 삼성경제연구소, 2010년.
· 한윤정, “Y세대 직장인 안아주기 ‘배려와 지원”, 『주간경향』, 2009년 11월 19일.
· Geert Hofstede, 『세계의 문화와 조직』, 차재호 역, 학지사, 1995년.
· Jeanne Meister, Karie Willyerd, 「Mentoring Millenials」, 『Harvard Business Review』,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