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국민중생활사] 민중신학의 삼위일체

발표 잘해서 A+ 학점 맞았습니다. 수고하세요^^
1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01.15 최종저작일 2003.01
19P 미리보기
[한국민중생활사] 민중신학의 삼위일체
  • 미리보기

    소개

    발표 잘해서 A+ 학점 맞았습니다.

    수고하세요^^

    목차

    서론
    하나님과 민중
    예수 그리스도와 민중
    성령과 민중
    결론

    본문내용

    서론

    해방신학으로서의 민중신학은 민중의 현실에 나타나는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프락시스(praxis)에 동참한다. 민중신학은 역사 속에서 민중의 종교-문화적, 사회-정치적 상황 안에서 민중과 교통하는 새로운 방법의 행동 신학을 추구한다. 민중신학은, 신학이란 민중의 현실 속에서 그들과 동일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런 면에서 민중신학의 형성은 해방과 자유를 추구하는 민중의 투쟁 기능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민중신학은 억압받는 민중의 경험과 관련된 기독교 신앙에 대한 학문적 연구이다. 따라서, 민중신학의 기능은 역사 안에서 완전한 인간성을 이루고자 하는 민중의 투쟁과 복음 사이의 상호작용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민중신학은 해방에 대한 민중의 경험과 성서의 모형의 빛에서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분석하고 수립하기를 추구한다.

    참고자료

    · ◈ 주(註) ◈
    · . 서남동, “한의 형상화와 그 신학적 성찰,” KNCC 신학연구위원회 편, ꡔ민중과 한국신학ꡕ(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2), p. 340.
    · . Yong Bock Kim, "Korean Christianity as a Messianic Movement of the People"과 "Messiah and Minjung: Discerning Messianic Politics over Against Political Messianism," CTC-CCA, ed., Minjung Theology: People as the Subject of History(Maryknoll, NY: Orbis Books, 1983), p. 80-119, 183-193.
    · . Owen C. Thomas, Theological Questions: Analysis and Argument (Wilton, Connecticut: Morehouse-Barlow Co. Inc., 1983).
    · . 김경재, ꡔ한국문화신학ꡕ(서울:한국신학연구소, 1983), pp. 242-278.
    · . Raymond Fung, "Evangelism Today," John C. England, ed., Living Theology in Asia(London, SCM Press, Ltd., 1981), pp. 76-83.
    · . 서남동, “한의 신학을 향하여,” ꡔ민중신학: 역사의 주체로서의 민중ꡕ, op. cit. pp. 57-58.
    · . Reinhold Niebuhr,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64).
    · . 서남동, ꡔ민중신학의 탐구ꡕ(서울:한길사, 1983), pp. 243-244.
    · . 한완상, ꡔ민중 사회학ꡕ(서울: 종로서적, 1984), pp. 26-27.
    · . 이 논의와 관련하여, Aloys Grillmeier, Christ in Christian Tradition, vol. 1: From the Apostolic Age to Chalcedon(451), trans. John Bowden(Atlanta: John Knox Press, 1975)을 보라.
    · . D. Preman Niles and T. K. Thomas, eds., Varieties of Witness (Singapore: CCA, 1980), pp. 9-21.
    · . Leonardo Boff, Church: Charisma and Power: Liberation Theology and the Institutional Church(New York: The Crossroad Publishing Co., 1985), p. 92.
    · . Albert Nolam, Jesus Before Christianity, New York: Orbis Books, 1976), pp. 3-4.
    · 14. Byung Mu Ahn, "Jesus and the Minjung in the Gospel of Mark," Minjung Theology: People as the Subject of History, op. cit., pp. 139-152.
    · . Jürgen Moltmann, The Crucified God: The Cross of Christ as the Foundation and Criticism of Christian Theology(New York: Harper and Row Publishers, 1973), p. 201.
    · . 김용복, “몰트만의 정치신학,” ꡔ한국 민중과 기독교ꡕ(서울: 형성사, 1981), pp. 289-309.
    · . "The Transmitters of the Jesus-event," CTC Bulletin 5:3(December 1984), 37.
    · . Wayne A. Meeks, The First Urban Christians(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83).
    · . Rudolpf Bultmann, Theology of th New Testament, 2 vols.(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43.
    · . 김용복, “민중의 사회전기와 신학,” KNCC 신학연구위원회 편, ꡔ민중과 한국신학ꡕ op. cit., p. 370.
    · . 서남동, “민중신학의 역사적 전거,” op. cit., p. 159.
    · . ꡔ<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