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장기화된 노년기를 건강하고 의미있게 보내기 위한 사회적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노년기에 있어 성은 많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노인에게 있어서 성은 단지 생물학적인 성욕을 해소하는 수단으로만이 아닌 노년기에 찾아올 수 있는 고독감을 해소하고 정서적 친밀감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노인의 성에 대한 한국 사회의 시각이 아직까지 매우 부정적이고 폐쇄적이어서 홀로된 노인들은 자신의 성적욕구조차 억압하거나 부적절한 방법으로 해소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 처해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에, 기존 국내 선행연구를 검토해 노인의 성에 대한 문제를 정의하고,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바라본 노인의 현황,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 실태,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노인 성생활에 대한 태도변화, 노인의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정보제공, 전문 상담기관 확대, 노인성교육전문강사 양성, 노인 성을 위한 프로그램 활성화, 성 관련 용품 개발과 홍보, 성의 음성화에 따른 의료적 개입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국가 제도적 보장 등을 통해 노인들의 신체적, 재정적 손해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Ⅰ. 서론
의료기술이나 과학의 발달 및 식생활 개선 등으로 대다수 근대 문화권에서는 인간의 수명연장과 노인인구의 급증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고령화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 그 결과 노인인구비율은 2020년 14%를 넘어 고령사회(Aged Society)로, 2026년에는 21%를 넘어 초고령사회(Ultra Aged Society)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다(통계청, 2010). 이처럼 우리 사회가 고령화됨에 따라 노인 자신이나 우리사회의 관심은 단순히 장수하는데 있는 것이 아닌 신체적 건강과 아울러 성공적 노화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으며(양우석, 2005) 노후생활의 질적인 측면에서 노인의 성문제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고정자, 2001, 노인복지학개론, 형설출판사.
· 권중돈, 2013, 노인복지론, 학지사.
· 모선희김형수유성호윤경아, 2007, 현대 노인복지론, 학지사.
· 송진영, 2011, 노인복지론, 나눔의 집.
· 이종복고미영김성철김재열남희수박승자순덕기이권일이금숙이유선이재선홍성로, 2012, 노인복지론, 양서원.
· 임춘식김근홍김형방김형수김혜경서윤안진유성호이근홍이윤로이인수이해영이현기이현지임병우전광현조미경조추용현외성, 2008, 노인복지학 개론, 학현사.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1, 고령화사회와 노인의 성 경기도 노인의 성의식과 성생활, 가족여성포럼, 제2권.
· 강지현박부진, 2003, 한국 노인부부의 성 의식과 성 생활에 관한 사례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22호 PP.105~126.
· 강현숙김태현, 2002, 무배우자 노인의 성욕구 실태와 해소유형,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7권 제3호 pp.127-151.
· 김문수, 2007, 노인 성에 대한 이해와 상담인권복지연구, 통권제2호 pp.17-39.
· 김홍란, 2003, 시설 노인의 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21호 pp.185-202.
· 나동석김영대, 2011, 노인의 성생활과 성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통권52호 pp.185-204.
· 나임순, 2005. 여성노인의 성지식 및 성태도가 성욕구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30호 pp.215-236.
· 보건복지부, 2011, 노인의 성 생활 실태조사.
·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12, 부산지역 노인의 성생활 및 가치관 분석, 연구보고서 2012-11.
· 서울시립대학교산학협력단, 2009, 서울시 노인의 성 실태 조사와 건전한 성문화 확립을 위한 연구, 서울특별시.
· 오진주, 2002, 무료 노인시설 성 보호 환경과 종사자들의 관련 태도 및 활동 정도, 한국노년학, 제22권 3호 통권 40호 pp.99-113.
· 유성호강숙연, 2003, 유배우자 노인의 성생활 유지여부 및 성생활 빈도와 관련된 인구사회적 변인, 노인복지연구, 통권20호 pp.139-155.
· 양우석, 2005, 고령화 사회 노인의 성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경희윤가현, 2006, 홀로 된 여성노인의 성, 한국노년학연구, 통권 제15권 pp.105-131.
· 이현심, 2010, 유배우자 여성노인의성생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48권 pp.151-176.
· 정윤모, 2005, 노인의 성문제 해결을 통한 노인복지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대학원논문집 제35호 pp.245-267.
· 조임현, 2011, 노인의 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52권 pp.391-418.
· 조임현, 2013, 홀로된 남성노인의 성생활 만족을 위한 사회복지정책적 접근, 한국복000.지정책, 제40권 제1호 pp.1-30.
· 최금봉, 2008, 노인의 성생활 실태와 자아통합감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제10권 제2호 pp.109-120.
· 채수운, 2008, 도시 노인의 성문제 실태에 관한 연구 : 종묘 공원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홍미령. 2004. 고령화시대 노인의 성문제 어떻게 대처해야하나?. 시립 성북 노인종합복지관 개관 5주년기념 세미나집.
· 대검찰청, www.spo.go.kr
· 질병관리본부, www.cdc.go.kr
· 통계청, www.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