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우주의 이해] 우주망원경

연대 박은서 교수님 수업 들었습니다. ^^; "우주의 이해" 과목임돠.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2.12.14 최종저작일 2002.12
21P 미리보기
[우주의 이해] 우주망원경
  • 미리보기

    소개

    연대 박은서 교수님 수업 들었습니다. ^^;
    "우주의 이해" 과목임돠.

    목차

    여러 종류의 망원경
    Hubble Space Telescope - visible light, infrared
    IRAS (Infra-red Astronomical Satellite) - infrared
    COBE (Cosmic Background Explorer) - infrared
    ASTRO-F - infrared
    IUE(international ultraviolet explorer) - ultraviolet
    euve - ultraviolet
    BeppoSAX - X ray
    Chandra - X ray
    XMM-Newton - X ray
    HETE2 - gamma ray

    Reference


    본문내용

    그대로 우주에 띄워진 망원경을 의미한다. 지상망원경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대기층에 존재하는 기체들에 의해서 X-ray와 γ-ray, ultraviolet 등의 빛은 흡수되어 관측할 수 없기 때문에 우주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렵고 대기가 흔들리면서 천체가 본래 크기보다 크게 보이고, 그 상이 정확하지 못하다. 우주 망원경은 우주에 띄워진 망원경이므로 대기에 의한 상의 간섭이 나타나지 않고, 다양한 파장의 빛을 얻어내어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우주에 대한 연구가 가능하다. 우주망원경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는 1920년대에 시작되었으나 그 당시에는 우주망원경을 쏘아 올릴 로켓기술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단순한 생각에 그쳤고 1969년 인류의 달 도착 이후로 구체적인 우주망원경 계획이 세워지게 되었다.
    이런 우주망원경은 관측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서 관측할 수 있는 빛의 파장이 다르다. 블랙홀을 찾고자 한다면 X-ray를 관측해야 할 것이며, 우주 내에 퍼져있는 열 복사를 알고 싶다면 적외선 파장의 빛을 측정해야 할 것이다. 이렇듯, 우리가 우주 내에서 얻고자 하는 정보는 다양하며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관측해야 할 빛의 파장도 다르다. (서론 끝부분...)

    참고자료

    · (과학 명강연으로 읽는) 자연과 우주의 수수께끼 78 / 김제완 / 서해문집 / 1999
    · 자외선우주망원경 연구 / 연세대학교 자외선 우주망원경 연구단 / 2000
    · 우주탐사 지식 보급을 위한 연구 개발 / 한국천문연구원 / 과학기술부 / 2000
    · 펄사 블랙홀을 찾아 떠난 과학자들의 이야기 / Greenstein, George / 한울 / 1992
    · http://www.asdc.asi.it/bepposax/
    · http://www.nascore.com/main.htm
    · http://www.ias.rm.cnr.it/ias-home/sax/grb1.html
    · http://myhome.hanafos.com/~sinclair/up.htm
    · http://www.kps.or.kr/~pht/11-9/020920.htm
    · http://211.40.179.13/book_file/ke48/ke048-0334.htm
    · http://211.40.179.13/book_file/ke17/ke017-081.htm
    · http://211.40.179.13/book_file/ke17/ke017-140.htm
    · http://www.magazinegv.com/news/news0210/0210science1.htm
    · http://bymin.hihome.com/hugesil-kwahak-blackhole.htm
    · http://www.newtonkorea.co.kr/newton/magazine/newton/2002_11/sub100.htm
    · http://spdext.estec.esa.nl/content/doc/78/2424_.htm (ENG)
    · http://haneul.chungnam.ac.kr/X-ray%20observatory.html
    · http://phys.suwon.ac.kr/~kdh2/tdpic/oct01/ast011029.htm
    · http://mulli2.kps.or.kr/~pht/10-4/010412.htm
    · http://phys.suwon.ac.kr/~kdh2/tdpic/may99/ast990526.htm
    · http://hubble.nasa.gov/
    · http://chandra.nasa.gov/
    · http://chandra.harvard.edu/
    · http://phys.suwon.ac.kr/~kdh2/tdpic/sep01/ast010914.htm
    · http://space.mit.edu/HETE/
    · http://heasarc.gsfc.nasa.gov/docs/hete2/
    · http://www.kao.re.kr/space/Space-Science/sp_astro/xray/1991/xmm/xmm_main.htm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