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신라시대 군사제도 연구사 정리

신라 군사제도의 연구사를 정리한 글입니다.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01.23 최종저작일 2011.05
5P 미리보기
신라시대 군사제도 연구사 정리
  • 미리보기

    소개

    신라 군사제도의 연구사를 정리한 글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머리말
    군사조직이란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군사력의 결집과 그것의 원활한 운용을 위하여 국가가 마련한 제도적 장치를 말하며, 지휘체계로서의 軍官組織과 기본적 군사력으로서의 일반 병졸집단을 그 人的 구성분자로 하고 있다.1) 군사조직에 관한 연구에는 매우 다양한 문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개별 군사조직 자체의 연혁이나 軍官의 構成, 혹은 그 所在地를 규명하는 등의 실증적?제도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다음으로 이와 같은 情態的인 연구를 토대로 군사조직의 생생하고 역동적인 군용실태의 파악과 운용과정에서 확인되는 여타 군사조직과의 연관성 등에 대한 검토도 또 하나의 갈래가 될 것이다. 군사조직에 대해서는 일찍이 조선후기 실학자들에 의해 선구적인 관심이 표명된 바 있었고, 근대적인 역사여구법이 정립된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시각에서의 접근이 시도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논점이 제시되었고 문제의식도 심화, 확대되어 왔다. 따라서 앞으로의 보다 진전된 연구와 올바른 방향정립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현단계까지 진행된 기왕의 연구성과를 점검, 정리하여 그 문제점을 확인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먼저 기왕의 연구들에 대한 시기별 연구추이와 경향을 살피는 한편, 그 성과를 개관해 보고자 한다.

    <중 략>

    이러한 몇 가지의 특징 이외에도 金基雄의 「삼국시대 武器小考」와 鄭泳鎬의 「新羅 南川停址의 硏究」에서는 고고학적인 측면에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각 종의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당대 武器?武具類의 실태나 군단의 주둔지의 정확한 위치와 그 규모의 파악, 방어시설물 내지 군사주둔지로서의 山城에 대한 연구 등과 같은 고고학적 측면의 연구는 장차 군사조직의 해명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맺음말
    상술한 바와 같이 군사조직에 대한 연구는 스펙트럼이 굉장히 넓다. 개별 군사조직 자체나 군사운용과정, 운용실태에 대한 파악이나 군사조직의 운용 주체로서 군정기구와 군령체계를 밝히는 문제, 실질적인 운용권의 소재와 행방 및 정치세력과의 관계 등도 또 하나의 연구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이문기, 『新羅兵制史硏究 』, 서울:一潮閣, 1997
    · 강봉용, 「三國 및 統一新羅 軍士參與層의 擴大와 軍役割」, 『百濟硏究』32, 忠南大學校 博物館, 2000
    · 강종훈, 「7세기 三國統一戰爭과 新羅의 軍事活動-660년 이전 對高句麗戰을 중심으로」, 『新羅文化 』24,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2004
    · 노근석, 「新羅 中古期의 軍事組織과 指揮體制 」, 『韓國古代史硏究』5, 韓國古代史學會, 1992
    · 신경식, 「新羅兵部令考」, 『歷史學報』, 61, 1974
    · 신태현, 「新羅職官 및 軍制의 硏究」, 『新興大學論集』1~2, 1959
    · 이기백, 「新羅私兵考」, 『歷史學報』9, 1957
    · 이명식, 「新羅 統一期의 軍事組織」, 『韓國軍事史論文選集 』1, 國防軍史硏究所, 1988
    · 이문기, 「新羅 軍事組織 硏究의 成果와 課題」, 『韓國軍事史論文選集』1, 國防軍史硏究所 , 1988
    · 이문기, 「新羅 中古期 軍事組織 硏究」, 慶北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92
    · 이문기, 「新羅6停軍團의 運用」, 『大邱史學』, 29, 1986
    · 이인철, 「新羅의 軍事組織과 그 運營實態」, 『軍史』28,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1994
    · 이종학, 「新羅軍事思想의 硏究」,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12, 新羅文化宣揚會 , 1991
    · 이종학, 「新羅三國統一의 軍事史的 고찰」, 『軍史』8,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1984
    · 이창수, 「統一新羅의 軍事組織과 그 運用」, 江原大學校碩士學位論文, 1999
    · 武田幸男, 「中古新羅의 軍事的 基盤」, 『民族文化論叢』1, 嶺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1
    · 末松保和, 「新羅幢停考」, 『新羅史の諸問題』, 1954
    · 井上秀雄, 「新羅兵制考」, 『新羅史基礎硏究』, 197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