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광한, 『기재기이』, 고려대 만송문고 영인본
· 『기재기이』(박헌순 역), 범우문고99, 범우사,1998.
· 『기재집』,민족문화추진회, 1987
· 정도전, 『삼봉집』
· 허균, 『국역성소부부고』
· 『국역중종실록』
· 『국역 대동야승』
· 『국역 동문선』
· 강소영, 「기재 신광한의 시세계 고찰」, 한양대석사논문, 1992.
· 권도경,「기재기이의 전기소설사적 의의 연구」, 『한국고전연구』, 한국고전연구학
· 회, 2000.
· 김여림, 「하생기우전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 2003.
· 김풍기, 『조선전기문학론 연구』, 태학사, 1996.
· 김현화, 「기재기이의 불교문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1986.
· 배종호, 『한국유학사』, 연세대출판부, 1974.
· 소인호, 『한국전기문학연구』, 국학자료원 1998.
· 소재영, 「기재기이연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90.
· ---- 「김시습과 그의 문학」, 『고소설통론』, 이우출판사, 1984.
· ---- 「서재야회록 연구, 천봉이능우박사칠순기념논충, 동 발간위원회,1990.
· ---- 「신광한의 기재기이」(자료해제), 『숭실어문』3, 숭실대 국어국문학과,
· 1986.
· ---- 「신광한의 최생우진기고」, 『숭실어문』5, 1988.
· ---- 「안빙몽유록 연구」, 『동방고전문학연구(학산조종업박사화갑기념논총)』,
· 동 간행위원회, 1990.
· 송병렬,「기재기이의 의인체적 성격」,『한국한문학연구』20, 한국한문학회, 1997.
· 신상필, 「기재기이의 성격과 위상」, 『민족문학사연구』, 2004.
· 신태수, 「기재기이의 환상성과 교환가능성의 수용 방향」, 『고소설연구』17,
· 2004.
· 신해진, 『조선중기 몽유록의 연구』, 박이정, 1998.
· 오현숙, 「기재 신광한의 시세계 연구」,단국대 석사학위 논문, 1992.
· 유기옥, 「신광한의 기재기이 연구」, 전북대 박사학위논문, 1990.
· ---- 「신광한의 기재기이 연구」, 한국문화사, 1999.
· 유약우 저, 이장우 역, 중국의 문학이론, 동화출판공사, 1984.
· 유정일, 『기재기이 연구』, 경인문화사, 2004.
· ----「안빙몽유록연구: 서사구조의 특성과 주제를 중심으로」,『청대학술논집』
· 2, 청주대학술연구소. 2004.
· 유종국, 『몽유록소설연구』, 아세아문화사, 1987 .
· 이경규, 「신광한의 기재기이 연구」, 한남대 박사학위논문, 1999.
·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79.
· 이지영, 「금오신화와 기재기이 비교연구 -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석사논
· 문, 1996.
·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비평사, 1984.
· 전형대 외, 『한국고전시학사』, 홍성사,1981.
· 정대림, 『한국고전비평사(조선후기편)』, 태학사, 2001, 80쪽 재인용
· ---- 『한국 고전문학비평의 이해』, 태학사, 1991. 10쪽
· 정상균, 「신광한 <기재기이>연구」, 『국어교육』105, 한국국어교육연구회,
· 2001.
· 정재현, 「기재 신광한 연구」, 단국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 조동일, 「16세기 사림파 문학사상」,『대동문화연구 13집』. 성균관대 대동문화연
· 구소, 1981.
· ----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9.
· 최삼룡, 「조선전기소설의 도교 사상」, 『경산 사재동박사 화갑기념논총』,1995
· 최승범, 「안빙몽유록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4. 전북대 국어국문학회,
·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