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언주, 신 피아제론, 배영사, 1990.
· 2. 박덕규, 피아제의 발생학적 인식론과 구조론, 민성사, 1992.
· 3. 변창진 등저, 교육심리 : 인지발달론적 접근, 교육과학사, 1996.
· 4. 성현란, 이현진 등저, 인지발달, 학지사, 2003,.
· 5. B.J 와즈워드, 정태위 역저, 삐아제의 인지발달론, 배영사, 1988.
· 6. Herbert P. Ginsburg 등저/ 김정민 역,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학지사, 2006.
· 7. J. Turner, 인지발달과 교육, 학문사, 1993.
· 8. J. 플라벨 등저, 인지발달, 나남, 1999.
· 9. John H. Flavell 외 저/ 정명숙, 인지발달, 시그마프레스, 2003.
· 10. 장 피아제 저/이병애 역, 교육론, 동문선, 2005.
· <참고논문>
· 1. 강정순, 이승국, 이혜숙, Vygotsky의 학습.발달 상호작용이론, 한국교육논단 Vo. l5, No. 2, 2006.
· 2. 공인숙, 인지발달 이론의 최근 동향, 순천대학교 과학과 교육 제5호, 1998.
· 3. 구광현, 인지발달과 학습에 관한 이론적 접근:측정 및 교수방법에 대한 시사점, 대신대학 논문집 제12집, 1992.
· 4. 김지현, 피아제와 비고스키 이론의 쟁점에 관한 교육학적 해석, 교육원리연구 제 3권 제1호, 1998.
· 5. 김억환, 신비고츠키 인지발달 이론모형, 교육논총 Vol. 21, 1996.
· 6. 김언주, 신-Piaget이론의 문화검증연구, 교육학연구 Vol. 28, No. 1, 1990.
· 7. 김애경, 인지발달에 관한 Piaget이론의 고찰과 Vygotsky와의 관점에 대한 비교연구, 역사와 사회 Vol. 3, No. 21, 1998.
· 8. 김청자, 이홍숙, Piaget의 인지발달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인문과학연구 Vol. 15, 2004.
· 9. 김행자, Piaget의 인지발달단계론의 고찰, 건국대학교 학술지 Vol. 24, No. 2, 1980.
· 10. 김현근, Piaget 이론과 아동 중심 교육, 피아제열린교실연구응용학회지 제2집 제1호, 1994.
· 11. 김현재, Piaget이론의 열린교육적 조명, 열린교육연구 연린교실연구 제1집, 1993.
· 12. 류지은,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 차이와 교육적 시사점, 교육연구논총, Vol. 26, No. 2, 2005.
· 13. 박채형, 비고츠키의 발달이론에 대한 인식론적 해석, 도덕교육연구 제 18권 1호, 2006.
· 14. 송선희, Vygotsky 이론과 학습검사, 교육문제연구 제14집, 2001.
· 15. 양옥승, 상호작용론적 관점에서 본 Vogotsky의 발생학적 인식론, 한국영유아보육학 제 10집, 1997.
· 16. 여광응, 조용태, Piaget이론과 장애아동의 인지발달, 특수교육학회지 제13집 제2호, 1993.
· 17. 임규혁, 이용진, 인지발달에서의 중심개념구조에 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Vol. 13, No. 1, 1999.
· 18.이시자, 유아놀이의 인지 발달적 기능에 대한 Piaget와 Vygotsky 관점 비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 6, No. 2, 1999.
· 19.이승국, Vygotsky의 학습-발달이론, 아동교육, 제11권 제2호, 2002.
· 20. 한은숙, 인지발달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제7집, 1993.
· 21. 허혜경, 수요자중심 교육에 대한 인지발달심리학적 고찰, 교육과정연구 Vol 18, 2000.
· 22. 황윤세, Vygotsky 이론 분석을 통한 영유아 교수. 학습과정의 재개념화, 한국보육학회지 제2권 제1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