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획취재반, 『가공식품의 위생과 안전상태』, 식생활, 98∼101, 1996. 4
· 2. 계승희, 김명희, 『우리나라 식색활 개선 정책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2(1), 166∼173, 1994
· 3. 유지상, 『식품첨가물의 위해, 안전에 관한 연구』, 소비자 생활연구, 4, 26∼37, 1989.
· 4. 김재조, 식품가공학, 문운당, 1991.
· 5. 한국식품년감, 식품 첨가물, 한국식품년감, 244∼262, 1996.
· 6. 안숙자, 『서울주부의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 연구소 논문집, 5, 147∼161 1989
· 7. 김소연, 『주부의 가공식품에 대한 구매행동과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 8. 이서래, 『유통식품의 안전성과 소비자 인식』, 식품과학과 산업, 22(2) 11∼12, 1989.
· 9. 동아일보, 『가공식품 영양균형 깬다』, 1997, 4, 17
· 10. 김경화, 『식품첨가물 유해론속에 천연첨가물 인기구가』, 식품과 위생, 78∼80, 1996. 4
· 11. 김일환, 『한국 식품첨가물 생산 및 사용현황과 국제적 동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19(5) 519∼529, 1990
· 12. 동아일보, 『미 쇠고기 식중독균 발견』, 1997. 10. 1
· 13. 이재관, 『식품위생의 과제와 규제』, 식품과학, 20(3), 31∼38, 1987.
· 14. 이형주, 『식품첨가물의 개발과 전망』, 식품과학과 산업, 25(2) 106∼111, 1992.
· 15. 임재헌, 『무의식중에 먹고 있는 식품첨가물 무엇이 해롭고 유익한가』, 식생활, 80∼85, 1997. 2
· 16. 손숙미, 『학교급식 영양사의 육가공식품에 대한 인식 및 사용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영양사회와 한국영양학회 심포지움, 1996.
· 17. 한국식품공업협회, 『식품첨가물 공전』, 한국식품공업협회, 1989.
· 18. 이용욱, 『가공식품의 안전성-식품첨가물을 중심으로』, 대한의학협회지, 32(8), 841∼848, 1989.
· 19. 신애자, 『한국 식품첨가물의 현황』, 식품과 산업, 28(1), 2∼29. 1995
· 20. 신애자, 『식품첨가물의 사용현황과 각국의 관리제도』, 식품기술 9(1), 29∼60, 1996
· 21. 최석영, 『식품오염』, 울산대학교 출판부, 81∼85, 1994.
· 22. 문범수, 『식품첨가물』, 수학사, 28, 1994.
· 23. 노완섭, 『가공식품의 안전성』, 국민영양, 117, 8∼13, 1990.
· 24. 이서래, 『식품의 안전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42, 1993.
· 25. 한국소비자 보호원, 『국민소비형태 및 의식구조 조사』,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229, 1991.
· 26. 이서래, 이미경, 『유통식품의 안전성과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음식문화 연구원 학술연구 보고서, 168, 1989.
· 27.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식품오염에 관한 의식조사 보고서』, 한국여성단체협의회, 59, 1988.
· 28. 식생활 개선 범국민 운동본부, 『국민 식생활 의식구조 조사 보고서』, 식생활 개선 범국민 운동본부, 11, 105∼114, 1989.
· 29. 환경청,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 조사보고』, 환경청, 315, 1982.
· 30. 동아일보, 『식품매장 냉<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