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개화기 이후의 교육

개화기 신교육의 수용과 전개
3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9.15 최종저작일 2010.09
38P 미리보기
개화기 이후의 교육
  • 미리보기

    소개

    개화기 신교육의 수용과 전개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신교육 형성의 배경
    1. 정신적 배경
    2. 사회적 배경
    Ⅲ. 신교육 수용과 전개의 양상
    1. 신교육의 수용
    2. 신교육의 확산
    3. 국권회복운동기
    Ⅳ. 한국 신교육의 특수성 **사진5. 서당/사진2이화학당 초기 수업사진
    Ⅴ.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이 글은 “20세기 초 구미의 주요 국가들(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과 한국에서의 ‘신교육운동’의 성립과 전개”의 주제 아래 해당 시기 한국의 ‘신교육 운동’을 다루는 것으로 구상되었다. 따라서 당연히 대상이 되는 ‘교육운동’이 무엇이냐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서구 여러 나라의 경우에는 20세기 초반에 ‘교육운동’이라는 명칭을 붙일 수 있는 분명한 흐름들이 파악되고 정리되어 있다. 그러한 운동들은 19세기까지의 교육이념과 실천을 비판하고, 기존에 이미 정립되어 있던 공교육에 대한 대안운동으로서 민간의 개인이나 단체에 의한 운동으로 등장하였다.
    한국의 20세기 초반은 서구의 20세기 초와는 분명하게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당시 한국에 있어서 ‘신교육’이란 “종래 한학교육에 대한 학교중심의 교육, 또는 구래(舊來)의 전통적 유교교육에 대하여 이것을 불식하고 서구의 신문화를 섭취하려는 교육”(손인수, 1998: 219)을 가리키며, 1876년 일본의 강압에 의한 강화도 조약의 결과로 개항한 이후에 외래문물의 본격적인 수용과 함께 전개된 서구 교육의 수용과 전개를 말한다. 그 과정에서 한국의 ‘신교육’ 수용은 서구의 신교육 운동과 달리 한국사회와 한국교육의 전면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의미를 갖는다.
    19세기 말부터 도입되어 확산을 모색하던 과정에 있던 신교육은 1905년의 을사조약과 1910년의 한일합방에 따른 일제강점으로 자발적인 성격이 분명하게 단절되어 버리고 말았다. 식민지 시기의 교육은 한국의 신교육이 아니라 일본제국주의에 의한 식민지 교육이기 때문이다. 식민지 시대의 교육은 전통의 단절과 일본화 내지는 일본에 의해 재해석되고 식민통치를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된 서구교육의 이식을 의미한다. 그것은 또 다른 의미의 신교육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신교육’을 논의함에 있어서는 식민지 시대를 포함하기 보다는 19세기 말의 ‘신교육’을 고찰하는 것이 더욱 적절한 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19세기 말에서 1910년 이전까지의 신교육의 수용과 전개를 살펴보려고 한다.

    참고자료

    · 『고종실록』.
    · 「독립신문」.
    · 강영심 외 (200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서울: 나남출판.
    · 강재언 (1982). 韓國近代史硏究(新編). 서울: 한울.
    · 강재언 (1990a). 조선의 서학사. 서울: 민음사.
    · 강재언 (1990b). 한국근대사. 서울: 한울.
    · 강혜숙 (1994). 실력양성론자로서의 도산 안창호에 대한 교육적 고찰 -사회진화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금장태 (2003). 조선 후기 유교와 서학. 교류와 갈등.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 김경미 (1999). 甲午改革 前後 敎育政策 展開過程 硏究.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기석ㆍ류방란 (1999). 한국 근대교육의 태동. 서울: 교육과학사.
    · 김도형 (1989). 大韓帝國末期의 國權恢復運動과 그 思想.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성학 (1996). 西歐 敎育學 導入過政 硏究(1895-1945).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숙자 (1980). 獨立協會의 敎育思想 -독립신문의 敎育論說 分析-. 韓國史硏究(1980. 9), 77-106.
    · 김영우 (1997). 韓國 開化期의 敎育. 서울: 교육과학사.
    · 김유원 (1999). 100년 뒤에 다시 읽는 독립신문. 서울: 경인문화사.
    · 김인회 (1984). 敎育 目的觀의 變遷過程. 韓國 新敎育의 發展硏究. (pp. 67-123).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김인회 (2002). 한국교육의 정신과 실천. 서울: 문음사.
    · 김정의 (1999). 동학민중혁명운동의 성격. 실학사상연구. 12. 429-446.
    · 노인화 (1989). 大韓帝國 時期 官立學校 敎育의 性格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류방란 (1995). 韓國近代敎育의 登場과 發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민경배 (1981). 敎會와 民族.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 박영신 (2002). 우리 사회의 성찰적 인식 -전통, 구조, 과정-. 서울: 현상과 인식.
    · 박찬승 (1990). 日帝下 ‘實力養成運動論’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손인수 (1998). 한국교육사 연구. 서울: 문음사.
    · 신국주 (1995). 甲午東學革命의 發生史的 背景.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2. 103-138.
    · 신영우 (2000). 1894년 東學農民軍의 身分制 否定論理와 實踐運動. 실학사상연구. 17, 18합권. 567-596.
    · 신용하 (1974).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학교. 문학과 지성. 5(1). 51-60.
    · 신용하 (2001). 한국 근대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서울: 문학과 지성사.
    · 역사문제연구소 편 (1988). 한국근현대연구입문. 서울: 역사비평사.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1998), 연세 한국어 사전. 서울: 두산동아.
    · 오인탁 (1982). 民族敎育과 宗敎敎育의 葛藤 -日帝下 民族敎育 및 宗敎敎育과 植民敎育의 葛藤에 관한 硏究-.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보고논문.
    · 오인탁ㆍ김창환ㆍ윤재흥 (2001). 한국현대교육철학과 교육사학의 전개 -194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 학지사.
    · 오태진 (1994). 開化期 新敎育思潮에 관한 考察. 민족문화연구. 27. 155-180.
    · 이광린 (1975). 開化派의 改新敎觀. 역사학보. 66. 1-43.
    · 이광린 (1994). 開化期硏究. 서울: 일조각.
    · 이광린 (1999). 韓國 開化史硏究. 서울: 일조각.
    · 이만열 편 (1985). 아펜젤러 -한국에 온 첫 선교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 이영호 (1992). 한국 기독교교육의 역사. 오인탁 외. 기독교교육사. (pp. 477-547). 서울: 교육목회.
    · 이윤미 (1998) 韓國 開化期 敎育에 나타난 東洋觀과 民族 槪念 -開化論者들의 論議를 中心으로-. 韓國敎育史學. 20. 259-296.
    · 이택휘 (1995). 1890년대의 사상사적 흐름. 한국정치외교사논총. 12. 43-63.
    · 이혜영 (1996). 근대교육 도입 과정에서 표출된 교육관의 유형과 갈등. 교육학연구. 34(3). 247-269.
    · 정순우 (1992a). 近代敎育 導入期에 있어서의 敎育政策 -東道西器論과 다윈이즘의 適用을 中心으로-. 韓國敎育史學. 14. 9-31.
    · 정순우 (1992b). 민족교육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새교육. (1992. 8). 34-41.
    · 정영희 (2000). 東學의 理念과 敎育思想 硏究. 동학학보. 1. 59-82.
    · 주진오 (1986). 獨立協會의 對外認識의 構造와 展開. 학림. 8. 69-105.
    · 총성의 (2000). 근대 한국 지식인의 대외인식.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 차기진 (2002). 조선후기 서학과 척사론 연구. 서울: 한국교회사연구소.
    · 최기영 (1997). 韓國近代啓蒙運動硏究. 서울: 일조각.
    · 최재정 (2002). 개혁교육학.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편. 위대한 교육사상가들 Ⅴ. (pp. 3-86). 서울: 교육과학사.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편 (1999). 한국 교단의 기독교교육사. 서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2). 한국 근ㆍ현대 교육정책의 역사적 평가.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사회과학연구부 교육윤리연구실.
    · Bollnow, O. F. 윤재흥 역 (2001). 실존철학과 교육학. 포천: 기독언어문화사.
    · Boyd, William. 이홍우ㆍ박재문ㆍ유한구 역 (1994). 서양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 Brubacher, J. S. 이원호 역 (1999). 교육문제사. 서울: 문음사.
    · Reble, Albert. 정영근ㆍ임상록ㆍ김미환ㆍ최종인 역 (2002). 서양교육사. 서울: 문음사.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