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논문]한일 유도선수의 운동능력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 분석

한일 유도선수의 운동능력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 분석입니다. 석사과정 졸업논문입니다.
6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3.02 최종저작일 2010.03
66P 미리보기
[논문]한일 유도선수의 운동능력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 분석
  • 미리보기

    소개

    한일 유도선수의 운동능력에 따른 경쟁불안의 차이 분석입니다.

    석사과정 졸업논문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연구 가설 4
    4. 연구의 제한점 5
    5.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경쟁불안의 개념 7
    2. 경쟁불안의 원인과 증상 10
    3. 경쟁불안과 운동수행이론 13
    4. 경쟁불안의 측정 22
    5. 경쟁불안해소방법 24
    6. 선행연구 26

    Ⅲ.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검사도구 ············································································31
    3. 연구절차 32
    4. 자료처리 32

    Ⅳ. 결과 33

    Ⅴ. 논의 45
    Ⅵ. 결론 및 제언 47

    참 고 문 헌 50
    ABSTRACT
    부 록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누구나 한번쯤은 체육대회에서 달리기를 할 때 출발신호가 있기 전에 긴장이나 불안감을 느꼈을 것이다. 이처럼 경쟁을 주요소로 포함하고 있는 스포츠 상황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큰 특징은 경쟁으로부터 발생하는 불안, 즉 경쟁불안(Competitive anxiety)이다.
    실제로 시합에서 직면한 대부분의 선수들은 경쟁불안을 경험하며 이를 얼마나 극복할 수 있느냐가 경기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스포츠 상황에서 지나친 경쟁불안은 운동기능을 저하시키는 요소로서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 따라서 경기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최고수행을 위해 경쟁불안이라는 요소를 제거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인간의 생리적인 능력의 개발에만 치중하던 스포츠 과학의 연구분야도 이제 정신적 · 심리적 분야에서 운동기능 향상 요인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스포츠 심리학적 관점에서 보면 경기력은 운동기능과 심리적 변인의 함수로써 파악될 수 있다(Carron, 1980). 즉, 어떤 선수가 특정 스포츠에 적합한 체력이나 훌륭한 기술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심리적 요인이 바람직하지 못하여 경기에서 패배하거나 좋지 못한 경기기록을 나타내는 경우와 체력이나 기술수준이 약간 낮은데도 불구하고 우수한 심리적 요인 때문에 승리하거나 좋은 경기 기록을 나타내는 경우를 볼 수 있다.
    흔히 우리는 연습상황에서 훌륭한 기량을 발휘하는 선수가 실제 경기상황들을 실망시키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선수의 신체적, 기술적 능력 외에 심리적 상태가 경기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잘 설명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경기를 둘러싼 여러 가지 외적요인에 대한 심리적 조절 능력을 갖추지 않고서는 최대 운동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2003, 권진영).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는 성격, 동기, 공격성, 욕구수준, 자아개념, 경쟁불안, 집중력, 주의형태, 정신력, 응집력, 주시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바람직하지 못할 때 경기력은 현저하게 떨어진다(Carron, 1980; Loehr, 1982; Niddeffer, 1980; Spielberger, 1972).

    참고자료

    · 권진영(2003), 검도선수들의 경기 전 경쟁불안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김관현(1999). 유도선수의 경쟁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동건(1996). 생리적 각성수준과 경기력 및 신체적 불안의 관계. 한국 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성수(1993). Kinesics 분석에 의한 유도 경기직전 입장행위와 승패간의 관계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2(1), 85-90.
    · 신동성(1993). 경기종목과 기능수준에 따른 운동선수의 심리적특성, 성 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승훈(2000). 프로농구에서 응원이 선수들의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99~2000 프로농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국진(1992). 격투기 선수들의 경쟁불안 수준연구,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제4집 제1호, 95-102.
    · 전기영.(2003). 한·일 유도 코치의 지도행동인식과 선수만족도의 차이,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정구인(1995). 기계체조 선수들의 기능수준과 대상별 정신력과 경쟁붛안,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조인철, 김영훈, 이병기(2002), 유도선수의 경쟁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 대학교 체육학과 연구논총, 12(1) : 312-322.
    · 최원섭(1995). 골프선수의 경쟁불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Bakker, F.C., Whiting, H.T.A., & van der Brug (1990). Sport psychology : Concept sand applications .NY : John Wiley.
    · Burton, D(1988). Anxious swimmers swim slower Reesxamining the Psychology 10, 45-61. elusive anxiety-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 Bush, J.(1970). Anxiety and performance at three levels of competition in female intercollegiate gymnas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pringfield College.
    · Carron, A.V(1980). Socal Psychology of sport Ithaca, New York : Movmnt Pubications.
    · Cohn, P.J(1991). AN exploratory study on peak performance in golf. The sport Psychologist, 5, 227-238.
    · Cox, R.H.(1990). Sport psychology : Concepts and applications. (2nd ed.), Dubuque, IA : Wm. C. Brown.
    · Cratty, B.J(1984). Psychology in contemporary sport (2nd ed.), Engle wood Cliffs, NJ : PrenticeHall.
    · Cratty, B.J(1986). Perceptual and Motor development in ingants and children. 34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Fenz, W.D. (1975). Coping mechanisms and performance under stress. In D. M Landers(ed), Psychology of sports and motor behavior Ⅱ, Penn State HPER Series, No. 10.University Park :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 Freud, S.(1950). Why war? In J. Strachey(Ed). Collected papers. London : Hogarth.
    · Gould D ., & Krane, V (1992). The arousal-athletic performance relatio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In T. Horn(Ed.), Advances in Sport psychology(pp.19-141).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Gould, D., Petlichkoff, L., Simons, J., & Vevera, M (1987).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subscale scores and pistol shooting performance. Journal of Sport psychology, 9, 33-42.
    · Gould, D.,Petlichkoff, L., Simons, J., & Vevera, M (1987).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subscale scores and pistol shooting performance. Journal of Sport psychology, 9, 33-42.
    · Gould, D.,Weinberg, R., & Jackson, A.(1980). Mental preparati strategies, cognition, and strength performance.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 329-335.
    · Harris. D.V., & Harris. B. L.(1984). Sport Psychology. Mental skill for physical people. NY : Leisure Press.
    · Hull, C.L. (1943). Principles of behavior. New York: Appleton-contury.
    · Klavora, P.(1977). An attempt to derive inverted-U curv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athletic performance. In D. M. Landers & R.W.Christina(eds.), Psychology of motor behavior and sport.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Publishers.
    · Landers, D.M(1980). The arousal-performance relationship revisited.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51.77-90.
    · Landers, D.M., & Boutcher. S,H. (1985). Arousal-performance relations hips applied sport psychology.
    · Levitt, E.E(1980). The psychology of anxiety. Hillsdale, N. J: Erlbaum, 1980.
    · Loehr, J.E(1982). Athletic Excellenll : Mental Toughness training for sport. Forum Publishing Company, 58-70.
    · Mandler, G., Mandler, J. M., & Urviller, E. T (1958). Autonomic feedback: The perception, 56, 367-373.
    · Martens, R(1974). Arousal and performance.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 2,155-188.
    · Martens, R(1975). Social psychology and physical activity. NY : Harper& Row.
    · Martens, R(1977).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 Martens, R. Burton D. Vealey, R. Bump, L. & Smith, D (1990). The deve lopment of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CSAI-2). In R. Martens, R. S. Vealey & D. Burton (Eds), Comprtitive anxiety in sport (177-190)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 Martens, R.(1975). Social psychology and physical activity. NY : Harper & Row.
    · Martens, R.(1977).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 Martens, R., & Simson, J. A (1976). Comparison of three predictors of state anxiety in competitive situations. Research Quarterly, 47(3), 381-387.
    · McGrath, J.E.(1970). Major methodologocal issues, In J. E. Mcgrath(Ed.),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Stress, New York : Holt, Rine chart & Winston.
    · Morgan, W.P.(1974). Selected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in sport. Research Quarterly, 45. 324-339.A.,
    · Morgan, W.P., O`connor, P.J., Ellickson, D.A., & Bradley P.W(1988). Personality structure,mood states, and performance.
    · Nideffer, R. M(1980). Attentional focus, delf assessment. In R. M.
    · Suinn(Ed.). Pscholigy in sport : Methods and applications. Minneapolis : Burgess.
    · Oxendine, J.B(1984). Emotional arousal and motor performance. Quest. 13, 23-32.
    · Passer, M.W(1983). Fear of failure, fear of evaluation, perceived competence, and self esteem in competitive trait.
    · Scanlan, T.K (1984). Competitive stress and child at hlete. In J. M. Silva III& R.S. Weinberg (Eds.), Psychologic al
    · Schmidt, R.A(1988). Motor Control and Learning: A Beha vorial Emphasis. Champaign, II. Human Kinetics.
    · Schmidt, R.A.(1987). Motor control and learning. Champaign, IL: Human Kinesics Publishers.
    · Singer, R.N. (1980). Motor Learning and Human Performance. N.Y.: Macmillan Publishing Co.
    · Sonstroem, R.J(1984). An overview of anxiety in sport. In J. M. Silva III & R. S. Weinberg(eds.).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sport,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 Sonstroem, R.J.(1982). Individual pregame state anxiety and basketball performance : A Re-examination of The Inverted-U Curve. Journal of Sport Psychology, 4. 235-245.
    · Spence, K.W., Farber, I.E., & McFann H.H.(1956). The relation of anxiety(drive) level performance in competitional andnon-competiti on al paired associates Journal of Experiment al Psychology, 52: 294-305.
    · Spielberger, C.D (1966). Theory and research on anxiety. In D.C. Spielberger(cd.), Anxiety and behavior. N.Y : Academic Press
    · Spielberger, C.D (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Im C.D. Spielberger(Ed), Anxiety : Current Trendsin Theory and Research 1, 24-54. New york : Academic.
    · Taylor, J.A (1953). A personality scale of manifest anxiety. Journal o 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8, 285-290.
    · Thayer, R.E (1967). Measurement of activation through self report. Psychological Reports, 20, 663-678.
    · Weinberg, R.S (1990). Anxiety and motor performance : Where to go from here?. Anxiety Research, 2(4), 227-242.
    · Weinberg, R.S.(1985).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ognitive strategies in enhancing endurance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7, 135-155.
    · Whittaker, Bleuler, S.A (1982). Use of nonverbal behavior in detdcting winnini and losing in tenni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54(3)., 1139-1144.
    · Witting, A. F.(1987). The relationship of gender, gender-role end or sement, and perceived physical self-efficacy to sport competition anxiety. Journal of sport Behavior, 11, 192-199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