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뇌졸중과 고혈압

뇌졸중과 고혈압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0.02.01 최종저작일 2010.02
6P 미리보기
뇌졸중과 고혈압
  • 미리보기

    소개

    뇌졸중과 고혈압

    목차

    서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고혈압 조절과 뇌졸중 예방
    뇌졸중의 일차적 예방과 이차적 예방
    뇌졸중의 종류와 위험인자로서의 고혈압의 조절
    급성기 뇌졸중의 혈압조절
    결론

    본문내용

    서론

    고혈압은 출혈성 뿐 아니라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인자라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동맥경화를 유발하여 혈전성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키며, 심장내에서 색전성 물질의 생성을 유발하여 색전성 뇌경색의 빈도를 증가시키기도 하며 뇌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뇌졸중의 발생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여 10세 증가할 때마다 그 빈도는 2배가 되며, 고지혈증, 당뇨병, 혈액응고인자의 변화, 비만, 심장질환, 인종, 가족력, homocysteine과 염증인자 등의 최근 연구되는 위험인자 등을 포함하여 뇌졸중의 유형에 따라 위험인자가 다르지만 고혈압은 뇌졸중의 가장 흔한 위험인자이다.
    수축기 혈압이 16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5mmHg 이상인 확실한 고혈압 환자에서 뇌졸중의 발생위험은 정상 혈압을 갖은 사람과 비교할 때 남자에서 3.1배, 여자에서 2.9배가 높고, 수축기 혈압이 140~159mmHg이고 이완기 혈압이 90~94mmHg인 경계성 고혈압 환자의 경우에도 뇌졸중의 위험은 50%가 증가한다. 나이가 들면서 고혈압의 충격은 감소하지만 뇌졸중의 위험은 75~84세 노인환자에서도 증가한다. 비색전성 허혈성 죄졸중의 경우에 45세에서 84세의 성인에서 고혈압의 정도에 따라 그 위험도가 증가한다. 또한 모든 연령층에서 이완기 혈압과 뇌졸중의 발생빈도는 명확하게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서 동맥의 탄력성이 저하되어 수축기 혈압은 증가하고 이완기 혈압은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보면, 65세 이상에서는 뇌졸중의 위험도는 수축기 혈압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65세 이상의 연령에서 수축기 혈압이 180mmHg 이상인 경우 뇌졸중의 발생 빈도는 오히려 감소한다. Framingham연구에서 보면 38년 동안 500예의 첫 뇌졸중 발생환자의 약 30%가 수축기 혈압 140에서 159mmHg사이였고, 수축기혈압 160mmHg이상인 경우는 남자에서 36%, 여자에서 41%였다. 다시 말해서 60%의 첫 뇌졸중 환자는 수축기 혈압이 160mmHg 미만이었다. 결론적으로 고혈압과 뇌졸중의 상관관계는 semilogarithmic relation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자료

    · Barnett HJM, Mohr JP, Stein BM, Yatsu FM : Stroke-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3rd ed. churchill livingstone, Philadelphia 1998:8-11
    · Britton M, Carlsson A, De Faire U : Blood pressure cause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and matched controls. Stroke 1986, 17:861-864
    · Carlsson A, Britton M: Blood pressure after stroke. Stroke 1993, 24:195-199
    · Chalmers J : Global impact of stroke. Heart disease 2000, 2:S13-S14
    · Collins R, Peto R, MacMahon S et al : Blood pressure,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Part 2, Short-term reductions in blood pressure: overview of randomized drug trials in there epidemiological context. Lancet 335:827-838, 1990
    · Fujii K, Weno BL, Baumbach GL, Heistad DD : Effect of antihypertensive treatment on focal cerebral infarction. Hypertension 1992, 19:713-719
    · Hansson L, Zanchetti A : The hypertension optimal treatment (HOT) study ; Patient characteristics, randomization, risk profiles and early blood pressure results. Blood Press 1994, 3:322-327
    · Irie K, Yamaguchi T, Minematsu K, Omae T: The J-curve phenomenon in stroke recurrence. Stroke 1993, 24:1844-1849
    · JNC: The Fif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NIH Publication no. 93-1088. NIH, Bethesda, MD, 1993
    ·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Olsen TS : Effect of blood pressure and diabetes on stroke in progression. Lancet 1994, 344:156-159
    · Kannel WB, Wolf PA, McGee DL et al: Systolic blood pressure, arterial rigidity, and risk of stroke. The Framingham study. JAMA 245:1225-1229; 1981
    · MacMahon S : Blood pressure and the prevention of stroke. Journal of hypertension 1996, 14 (suppl 6):S39-S46
    · MacMahon S, Peto R, Cutler J, et al.:Blood pressure,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Part 1:prolonged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corrected for the regression dilution bias. Lancet 1990, 335:765-774
    · Perry HM et al : Effect of treating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on the risk of developing various types and subtypes of stroke. The systolic hypertension in the elderly program(SHEP) JAMA 284:465-471;2000
    · Rodgers A, MacMahon S, Bamble G, Slattery J, Sandercock P, Warlow C on befalf of the UKTIA Trial investigators: Blood pressure is a important predictor of stroke risk in both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individual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BMJ 1996, 313:147
    · Spence JD : Cerebral consequences of hypertension. In hypertension.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edited by Laragh JH, Brenner BM. New York: Raven press: Chapter 43:741-753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