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아시아에서 최대 인구와 시장을 가진 나라로 경제대국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 나라의 언어가 국제사회에서 통용어가 된다는 것은 그 국가의 높은 위상
을 자연스럽게 반영하는 것처럼, 중국어는 UN에서 국제 공용어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으며, 21세기의 글로벌 비즈니스 언어로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인 흐름
의 영향으로 국내에서 중국어를 배우고자하는 학습자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었고,
사회 각 분야에서도 중국과의 교류가 확대됨에 따라 어학 능력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의 전문 지식을 갖춘 인재 양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로
인하여 중국어 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들도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第7次 중국어과 敎育課程을 살펴보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쉬
운 중국어를 표현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중국인의 일상생활 및 문화
를 소재로 한 기초적인 중국어를 배우는 것을 총괄 목표로 두고 있다. 그리고 듣
기,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을 균형 있게 배양하여 중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흥미
를 불러일으키고 이를 발전시키는 하위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주 1~2회의
낮은 수업 빈도와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의 영향으로 중국어 교과가 학생들에게 큰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중국어의 영향력이 날로 커
지고 있다는 점과 中 ․ 高等學校에서의 중국어 수업이 장차 학생들의 대학 진로와
직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면 중국어 교과의 중요성은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기존의 전통적인 교수 방법인 단순한 대화문 암기의 교육에서 벗어나 중국
의 문화적, 역사적 배경을 충분히 이해하는 바탕 위에서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능동
적인 참여를 유도한 교육이 중국어 학습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 또한 중국어 교과
의 제한된 수업 빈도 속에서도 학습의 효과를 최대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학습 내
용이나 교수법의 개선을 추구하여 학력 수준에 맞는 수업을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 Ⅰ. 敎科書
· 김경수, 김성룡, 김봉숙, 김평호,《고등학교 한문》, (주)교학사, 2001.
· 김상호, 최창구, 이강렬, 원창희,《고등학교 한문》, (주)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1.
· 박갑수, 이상진, 최상근,《고등학교 한문》, (주)지학사, 2001.
· 신표섭, 이병주, 이윤찬 외 5명,《고등학교 한문》, 대학서림, 2001.
· 안재철, 원용석, 김동규,《고등학교 한문》, (주)대한교과서, 2001.
· 유성준, 김동환, 유형규,《고등학교 한문》, (주)새한교과서, 2001.
· 이명학, 장호성, 현상곤, 임완혁,《고등학교 한문》, (주)두산동아, 2001.
· 이수철, 곽치영,《고등학교 한문》, (주)정진출판사, 2001.
· 이희목, 진재교, 최돈욱, 신영주,《고등학교 한문》, (주)천재교육, 2001.
· 최상익, 이병혁, 허남욱, 이영우,《고등학교 한문》, (주)금성출판사, 2001.
· Ⅱ. 單行本
· 고두현,《옛시 읽는 CEO》, 21세기 북스, 2009.
· 교육부,《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서 - 한문》, 1997.
· 교육부,《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 1997.
· 김경수,《고등학교 한문 자습서》, 교학사, 2006.
· 김택, 《唐詩新評》, 善, 1997.
· 김희보,《중국의 명시》, 가람기획, 2001.
· 송무, 《시적 텍스트를 이용한 영어교육》, 新雅社, 1998.
· 심우영,《학생들과 함께 떠난 중국시가여행》, 學古房, 2006.
· 안재철 외,《고등학교 한문 자습서》, 대한교과서, 2005.
· 왕순홍,《중국의 어제와 오늘》, 평민사, 2003.
· 이명학 외,《고등학교 한문 자습서》, 두산동아, 2006.
· 이해원 외,《4色4味 중국시 산책》, 세창미디어,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