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환,「단군 연구사의 정리와 방향-단군릉 발굴 이후 역사학 분야 성과를 중심으로-」,
· 단군학회, 단군학연구 제18호, 2008.
· 도면회,「북한의 한국사 시대구분론」,『북한의 역사 만들기』, 푸른역사, 2003.
· 이선복,「고고학 이야기」, 뿌리와이파리, 2005.
· 이형구, 북한문제조사연구소편, 『단군을 찾아서 살림터』, 1993.
· 허종호,「조선의 대동강문화는 세계 5대문명의 하나」, 력사과학, 1999.
· 정영순, 「남북한의 역사인식 비교연구」, 2006.
· 문명자, 『북한은 왜 5011년만에 단군릉을 복원했나』, 월간말 12월호, 1994.
· 사회과학원 력사편집실,「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연구론문집」, 사회과학 출판사, 1994.
· 권오영, “단군릉사건과 대동강문화론의 전개”, 『북한의 역사만들기』 ,
· 김소현, ‘단군은 정말 실존했을까’, 동아일보, 2008.
· 콜린 렌프류 폴 반, 이휘준 옮김,『현대 고고학의 이해』, 사회평론, 2006.
· 김교경,「단군릉에서 나온 사람뼈에 대한 년대측정결과」,『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연구론문집』, 사회 과학출판사, 1994.
· 전영수․허만종,「전자상자성공명법에 의한 화석 뼈의 년대측정에서 방사비평형에 대한 고찰」,『조선 고고연구』,1995.
· 박진욱,「단군릉의 발굴정형」,『단군과 고조선에 관한 연구론문집』, 사회과학출판사, 1994,
· 송호정, 「고조선과 낙랑의 북한 문화유산」, 한국고대사학회, 한국고대사 연구, 2002.
· 리순진,「대동강문화의 기본 내용과 우수성에 대하여」,『조선고고연구』, 1999.
· 성삼제, 『고조선 사라진 역사』, 동아일보사, 2005,
· 박광용,「북한학계의 단군 인식과 ‘단군릉’발굴」, 『역사비평』, 2000년 가을호,
· 최몽룡,「단군릉 발굴에 대한 몇 가지 이견」,『한국상고사학보』, 15, 한국상고사학회, 1994.
· 이선복,『최근의 “단군릉” 문제』, “한국사시민강좌”, 31, 맇도삿, 1997.
· 노태돈,「북한학계의 고조선사 연구 동향」,『단군과 고조선사』, 사계절, 2000.
· 민족정신운동회복연합 편,「올바른 상고사 복원을 위한 광복절 민족대심포지움」, 1999.
· 민족정신회복시민운동연합, 역사연구위원회공편, 『상고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초,중,고교 국사교과 서를 중심으로』, 1999.
· 교육부 편, 「한국 상고사 쟁점에 관한 연구」, 2000.
· 단군학회 편, 「한국상고사의 쟁점: 국사교과서 개 편방향과 관련하여」, 2000. ; 우리역사바로알기 시민연대. 대한상고사학회 공편, 「단군은 신화인가」, 2002.
· 주용수,『묘향산 「단군릉․단군상」북한 정권의 정치목적 조작물 가능성』, 한국논단, 142호, 2001.
· 한국고고학회,『동아시아 고고학연구와 내셔널리즘』,제 52회 역사학대회 발표문.
· 고조선 역사문화재단,「평양 대박산 기슭에 단군릉의 발굴과 개건」
· 『조선력사』,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