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랜드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화장품 브랜드 라벨의 정보시각화 디자인연구 -국내 중견사화장품브랜드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Design of Cosmetics Brand Label for Enhancing Brand Communication - Focusing on Korea’s med-sized companys Cosmetic Brand -)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1.09
14P 미리보기
브랜드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한 화장품 브랜드 라벨의 정보시각화 디자인연구 -국내 중견사화장품브랜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7권 / 3호 / 342 ~ 355페이지
    · 저자명 : 송지성, 이평선

    초록

    국내 화장품 시장이 프리미엄제품과 초저가 제품으로 양분화 되면서 중견화장품이 설 자리는 점점 좁아지고 있다. 특히, 유통 채널망을 확보하지 못한 중견 화장품은 제품노출 자체가 어려워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구매율이 갈수록 낮아지는 상황이다. 프리미엄 제품은 주로 방판과 백화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이 판매되는 반면, 저가 화장품은 화장품 전문점 및 할인점, 인터넷 쇼핑몰, TV홈쇼핑 등을 통해 판매된다. 중견 화장품사의 경우 자체 유통망 확보가 어려워 과거 화장품 전문점과 자체 방판조직을 주로 이용하였지만 2000년대 이후 국내 화장품 시장이 프리미엄 제품과 저가 제품으로 양분화 되면서 브랜드숍 위주로 재편 되었고 중견화장품사의 판매 유통구조가 취약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이들만의 체계적이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대기업의 브랜드와 차별화 된 독자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중견기업은 대기업에 뒤지지 않는 우수한 R&D기술로 성능 면에서 뛰어나지만 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전달 시스템은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화장품의 정보전달 표기의 방법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화장품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 중견기업화장품을 대상으로하여 기초화장품 용기에 적용된 라벨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화장품은 각 브랜드의 프리미엄화장품 브랜드를 대상으로 사례조사 및 제안 범위를 선정하였다.연구 방법으로 이론적 배경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사례조사를 통해서 정보디자인이 라벨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먼저 브랜드커뮤니케이션과 정보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조사로 시작하여 화장품 라벨의 중요성과 정보 디자인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해외 프리미엄 화장품브랜드와 국내 프리미엄 화장품 브랜드의 라벨을 통한 사례조사를 통해 소망화장품의 라벨 형태와 비교분석하여 나아갈 점을 제시하였다. 현재 국내 화장품의 정보표기의 문제점은 화장품 정보의 우선순위가 체계화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소비자가 화장품 구매 시 중요하게 고려했던 성분표기, 제조일자, 유통기한의 중요도를 한눈에 알지 못해 식별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매우 함축적이거나 혹은 정보량이 너무 많아 통일성이 없고 제품설명의 불필요한 부분을 줄일 필요가 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영어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제품설명 뿐만 아니라 제품명, 성분 표기를 영문으로 하여 정확한 정보전달이 어렵다는 점이다. 위와 같이 화장품 정보표기를 개선하기 위해 화장품 정보 표기 시 고려해야 할 정보의 정확성, 기능성, 시각화의 표준화, 정보의 위계성, 언어, 디자인의 심미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치표현과 타이포그래피, 언어사용, 레이아웃의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고 수치표기를 통한 방안으로 버키벨서의 영양성분 레이블을 활용하여 참고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중견기업의 회사 및 제품의 네임, 브랜드이미지 상승과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브랜드네이밍에 대한 강조가 필요하고 효능 및 성분을 우선순위로 고려하여 표기한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소비자가 화장품의 필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습득할 수 있고 제품은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줌으로써 상호 원활한 브랜드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브랜드숍 및 프리미엄 화장품의 독점적인 시장에서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중견기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Korean cosmetics market has divided into premium products and low cost products and the room for medium-level products is becoming narrower. In particular, as the medium-level products which have not secured the logistics channel have difficulties exposing their products, the rate of purchase for such products by the consumers is decreasing. While premium products are sold to the consumers by door-to-door sales or department stores, the low cost cosmetics are sold in cosmetics stores or outlets, internet shopping malls or TV home shopping networks. In case of the medium-level cosmetics companies, they have trouble securing their own logistics network and relied on the cosmetics shops or door-to-door sales in the past. However since 2000, Korean cosmetics market has been divided into premium and low cost products and the market has been restructured, focusing on the brand shops. As a result, the sales logistics structure has become considerably poor for the medium-levelcosmetics. Therefore, their own systemized brand communication strategies would need to be further studied and the independent system which is distinct from the brands is required. Med-sized companies produce products which are excellent in performance with R&D technology is on par with that of large companies but the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hat could be delivered to the consumers accurately and effectively is lacking. Therefore, with the written information delivery of the cosmetics, the information must be communicated with accuracy and speed to the consumers for their understanding.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Korea’s med-sized company, centering on the labels applied to the containers of base cosmetics. The cosmetics are selected based on the case analysis and scope for the proposals of the premium brands of each brand. As for the research method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research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 case studies, the ways the information design is being applied to the label was analyzed. First, starting wit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into the brand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design, the importance of the cosmetics label and information design were examined. Furthermore, based on the case studies on the foreign premium cosmetics brand and Korean premium brand labels, the forms of labels on Somang Cosmetic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future directions for it were proposed. The issue of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on the Korean cosmetics is that the priority for the information on cosmetics is not systemized. As a result, the consumers have a difficulty with discriminability because they could not recognize the ingredients, manufacturing date and the importance of the expiration date at once, the details they considered important when purchasing the cosmetics. Also, the information tended to be very implicit or the information stated was too much with inconsistency, and unnecessary parts of the product information must be reduced. The biggest issue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convey accurate information because the production information, the product name and ingredient were in written in English due to the indiscriminate use of the language. To improve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on the cosmetics, the accuracy, performance of the information, the standardization in visualization, hierarchy of information and aesthetics of design which must be considered for stating them were proposed. Also the numerical information, typography, use of the language and visual elements of the layout were used and as for the method for numerical information, Burkey Belser ingredient labels were used for propo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Somang Cosmetics was a med-sized company and to enhance the brand image and popularity, the brand naming must be stressed and the priority must be considered for stating the performance and ingredients in the label. With such methods, the consumers can easily learn the information they need on the cosmetics. By instilling a trust in the consumers, the product can convey an effective brand communication with them, leading to the growth of the med-sized companies through differentiated strategies in the market dominated by the brand shops and premium cosm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