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예품의 선택속성 평가척도 개발 (Scale Development of Selection Attributes for Craf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3.08
15P 미리보기
공예품의 선택속성 평가척도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6권 / 3호 / 289 ~ 303페이지
    · 저자명 : 황민우, 김태선, 고보형

    초록

    연구배경 공예 시장이 점차 성장하면서 공예품은 상품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할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선택속성을 공예품의 차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공예품 소비자들의 행동 연구에 있어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하고 타당한 공예품의 선택속성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예품의 특성을 연구한 국내외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문헌 연구와 전문가 FGI,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완성했다. 이후, 도출된 척도를 검증하기 위해 공예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편의추출법을 이용한 설문을 실시했다. 총 197명의 데이터를 SPSS 29.0을 이용해 빈도분석과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군집분석,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군집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헌 연구와 전문가 FGI, 예비조사를 통해 24개의 선택속성 측정 항목을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을통해 공예품의 선택속성 평가척도로는 총 5개 차원, 17개 문항이 도출되었으며 각 차원은 기대 애착, 시각적 매력도, 기대 품질, 작가 인지도, 사회적 정체성으로 구성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고관심형, 저관심형, 팬덤형, 과시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소비자의 경제적 수준보다 연령과 학력이 군집 구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공예품 선택속성 평가척도는 공예품 소비자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공예작가 및 관련 실무자들은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As the craft market grows, crafts are turning into commodities. It’s, therefo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crafts that consumers consider when purchas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ppropriate and valid selection attributes of crafts that can be used in the behavioral research of craft consumers.
    Metho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expert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preliminary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Subsequently, a survey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conducted with consumers who had purchased crafts to validate the derived scale. A total of 197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9.0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clusters.
    Results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FGI, and preliminary survey, 24 selection attributes were construct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a selection attributes scale with five dimensions and 17 items, including ‘Expected attachment,’ ‘Visual attractiveness,’ ‘Expected quality,’ ‘Artist awareness,’ and ‘Social identity.’ Cluster analysis categorized consumers into four types: ‘High interest,’ ‘Low interest,’ ‘Fandom,’ and ‘Exhibitionist,’ with age and education level having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cluster differentiation than economic level.
    Conclusions The selection attribute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understanding consumers of crafts. Based on this, crafts artists, manufacturers and related practitioners can explore strategic ways to enhance market competitiv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