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발전방안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osmetics Indus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07.12
18P 미리보기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발전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13권 / 2호 / 119 ~ 136페이지
    · 저자명 : 조재국

    초록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의 수입 증가, 유통경로 다양화 등에 따른 국산 및 외국산 제품을 불문하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국내경기의 활성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한 최근에는 한미 FTA 체결과 관련한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어 더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화장품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취업유발계수 등을 비교할 수 있는바 전반적인 생산파급효과는 상당히 큰 편이다. 또한 SWOT 분석을 통하여 화장품 산업을 살펴볼 수 있다.이와 같은 여건에서 화장품업계는 연구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제조물책임의 강화, 소비자 클레임 처리의 표준화를 통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구축하여야 하며, 또한 제조업체 스스로 인적 자본인 전문가 육성에 많은 투자를 하여야 하며, 관련 산업과의 협력증대를 통한 산업 범위의 확대에도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정부에서는 업체의 해외 진출, 연구개발, 해외정보 수집, 관련 기관간의 네트워크 구축 등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며, 화장품의 범위 및 산업규모의 확대, 전문인력 양성 지원, 인프라 구축, 관련 법 개정 등에도 심도있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화장품협회에서도 회원사에 대한 서비스 제공 확대, 홍보 강화, 협회 역할 증대 등의 분야에 많은 투자를 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smetics industry is regarded in many respects as one that suits Korea, in that it is knowledge-oriented, high value-added, environment-friendly, and less energy-consuming than many other industries. It is a small batch production industry that is driven more by cutting edge technologies than natural resources, which Korea lacks. As of 2004, the volume of cosmetics industry for Korea was 3.3 billion dollars as compared to 22.8 billion dollars for the US. Also, Korea imports more from the US than it exports to the country, and the gap is expected to widen with the recent conclus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which could lead to increased market share of American firms in Korea and, as a result, mass bankruptcies among Korea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What's obvious in these circumstances is that, if the Korean cosmetics industry is to make advancement, there is an urgent need forefforts on the part of cosmetics firms, and manufacturers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cosmetics sector is increasingly becoming ineffective and limited in raising its competitiveness in the framework of the WTO and FTA.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where Korea's cosmetics industry stands and suggests ways in which its cosmetics businesses can gain an edge over their competitors in other countries and develop finer products with higher value added. In this effort, the government will have to reduce regulations and devote its energies to fostering a climate where cosmetics firms can compete freely with each other and with their foreign counterp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건경제와 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