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일한국인 작가의 자전적 소설에 나타난 한·일 간의 트랜스 내셔널, 문화 횡단의 가능성: 이회성의 다듬이질하는 여인 (1972), 이양지의 유희 (1988), 유미리의 풀하우스 (1997)를 중심으로 (Transcutural and Transnational Dynamics between Korea and Japan shown in Zainichi Writers’ Autobiographic Fiction: Focusing on Ri Kaisei's “The Woman Who Fulled Clothes(1972),” Yi Yangji's “Yuhee(1988)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6.06
23P 미리보기
재일한국인 작가의 자전적 소설에 나타난 한·일 간의 트랜스 내셔널, 문화 횡단의 가능성: 이회성의 다듬이질하는 여인 (1972), 이양지의 유희 (1988), 유미리의 풀하우스 (1997)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디아스포라연구 / 10권 / 1호 / 101 ~ 123페이지
    · 저자명 : 김한성

    초록

    흔히 세계문학을 세계 여러 곳곳의 국민문학들로부터 산출된, 정전 (canon)들의 집합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있다. 아마도 국내외 굴지의 출 판사들이 펴낸 세계문학전집에서 그런 인식이 배태되는 경우가 많았을 듯 하다. 그러나 1827년 독일의 대문호 괴테가 에커만과의 대화에서 논의한 세계문학 개념에 관해, 이후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였듯이 세계문학은 하나로 정리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 듯 보이면서도 민족주의적 색채를 내면화하고 있고, 하나이면서도 불평등 하며, 단일성을 추구하는 것 같지만 여러 지류들을 내포한 개념이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사회에서 소수자로서의 체험을 형상화한 재일한 국인 아쿠타가와상 수상작가 이회성, 이양지, 유미리의 대표작을 분석하 여 태평양 전쟁 후, 한·일 양국 간의 민족주의 속에서 ‘낀 존재’로 남은 재일한국인의 정체성을 진단하려 한다. ‘낀 존재’로서 재일한국인의 정체 성은 데이비드 댐로쉬(David Damrosch)의 세계문학 개념과 결부되어, 재일한국인 문학이 세계문학으로 나아가는 연결고리가 된다. 재일한국인 문학은 이질적인 한·일의 두 문화를 함께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한 지역의 시간과 공간을 넘어 다른 세계와의 분리된 연관”을 추구하는 세 계문학의 한 지류를 구성하고 있다.

    영어초록

    Korean scholars have been observing Zainichi Literature by focusing their Korean ethnicity and their Korean heritage. With this standard, they have judged that Ri’s work “The Woman Who Fulled Clothes” mobilizes Zainichi community and represents the resistance of Zainichi Koreans against Japan; and through the Yi Yangji, Zainichi literature starts to shed light on Zainichi individual, not a Zainichi community; and Yu Miri’s Full House shows the cosmopolitan individual’s perspective beyond Korean and Japanese ethnicity. However, my reading is different to their interpretation. I can see rather transcultural and transnational value from Li’s work: Suri’s emphasis on education and her distant stance from her Korean nationalistic parents and pro-Japanese husband shows how Zainichi Koreans have the right to define themselves without any interruption from Japanese and Koreans. Such a subjective and self-reliant mind can give the courage to stand independently with Japanese, which can be possible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ch was pervasive with the slogan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However, after WWII, such an independent voice of Zainichi Koreans cannot stand between Japanese and Korean national fascism. My approach is in the similar context with Mark Driscoll’s article, “Postcoloniality in Reverse.” And recent research about Japanese colonialism by Kimberly Kono Tae also supports such a view that transculturalism which was pervasive during the Japanese Empire became collapsed in post-war Japan due to homogenized Japanese nationalism. Zainichi Koreans cannot be no more free from Japanese nationalism in post-war.
    David Damrosch defines one of requirements to be a world literature that not as “a set canon of texts but a mode of reading: a form of detached engagement with worlds beyond our place and time” (Damrosch, 281). If we read these three texts in the mode which detaches Korean identity, interpretation can be distinctive. Although these texts are dealing with Korean identity in certain degree, these texts were all published in Japanese literary magazines, written in Japanese, and evaluated by Japanese critics. Also, considering that these three writers are all educated in Japan and their being is more connected with Japan, examining these texts related to Japan and Japanese society would be more reasonable than being obsessed with their Korean leg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아스포라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