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업 내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조직문화,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적문화를 매개로 (A Study on the Role of Facilitato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in Companies: Through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3.01
22P 미리보기
기업 내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조직문화, 혁신행동에 관한 연구: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적문화를 매개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6권 / 1호 / 165 ~ 18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정, 서영욱

    초록

    기업 내 회의는 문제해결이나 성과 창출, 현황 공유와 아이디어 발굴 등을 위해 주, 일, 월 단위로 정기또는 비정기적이며 수시로 진행된다. 이러한 회의에 참석하는 직장인들의 회의 만족도는 높지 않다. 효율적이지못한 회의 진행, 상호 소통이 되지 않는 회의, 결과 없는 회의가 반복되기 때문이다. 회의문화를 개선하기위해 퍼실리테이터가 회의를 진행하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업 내에서회의나 워크숍에서 퍼실리테이터(회의촉진자, 의사소통자)의 역할이 조직문화(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적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문화가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이조직문화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기업의 퍼실리테이터가진행하는 퍼실리테이션 과정에 3회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수집된 299건을Smart PLS 3.0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첫째, 퍼실리테이터의 회의촉진자 역할이 관계지향문화에만 정(+)의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퍼실리테이터가 회의 진행시 조직문화의 유형에 따라 역할의 영역을 다르게 할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퍼실리테이터의 의사소통자 역할은 관계지향문화, 혁신지향문화, 위계적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공감과 경청, 개방적인 질문과 피드백, 인정과 칭찬을 통해 참여를촉진하는 의사소통자 역할은 조직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관계지향문화는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관계지향문화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적자원개발을 통해혁신행동의 실행을 권장 할 수 있을 것이다. 매개효과의 검증결과는 퍼실리테이터의 회의촉진자 역할이공식적인 규칙과 능률을 중요시 하는 위계적문화를 매개로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퍼실리테이터의의사소통자 역할은 새로운 도전과 성과를 중요시 하는 혁신지향문화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주었다. 본 연구는 퍼실리테이터의 역할과 조직문화, 혁신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회의문화 개선을 위해 퍼실리테이터가 진행하는 퍼실리테이션 문화의 확산, 경영 방향에 맞는 조직문화 형성과구성원의 혁신행동 증진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Meetings within companies are held regularly or irregularly on a weekly, daily, or monthly basis to solve problems, create results, share the current situation, and discover idea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meeting of the office worker who attends such a meeting is not high. This is because meetings are repeated inefficiently, without mutual communication, and without results. In order to improve meeting culture, there is a need to study how facilitators influence meeting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role of facilitators (meeting facilitators, communicators) in corporate meetings and workshops on organizational cultur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latitudinal culture), and how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innovative behavior. We then looked at the influence of the facilitator's role on innovation behavior through organizational culture. For this purpose, Smart PLS 3.0 was used to verify 299 responses collected from a survey of members who had participated in a facilitation process conducted by domestic company facilitators three or more times. The role of the conference facilitator in Japan did not exert a political (+) influence only on th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This indicates that the facilitator needs to change role areas during the meeting depending on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 role of facilitator's communicator had a political (+) influence on relationship-oriented, innovation-oriented, and sanitary cultures. The role of a communicator that fosters participation through empathy and listening, open questioning and feedback, recognition and praise can b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although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did not affect innovation behavior positively, it would be possible to encourage the implementation of innovation behavior through 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effect suggest that the facilitator's role as a conference facilitator nfluences innovation behavior through latitudinal cultures that emphasize formal rules and efficiency, and that the facilitator's role as a communicator has a new influence on innovation behavior. We value challenges and achievements. The innovation-oriented culture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behavior.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the facilitator, organiza 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r, and expands it theoretical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pread the culture of persilitation promoted by the facilitator to improve the conference culture, and to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matches the direction of management.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promoting members' innovation behavi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