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전시 플랫폼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과 선호도 연구 (User Experience and Preference Study according to Types of Online Exhibition Platform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1.10
23P 미리보기
온라인 전시 플랫폼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과 선호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2권 / 5호 / 481 ~ 503페이지
    · 저자명 : 정한결, 윤재영

    초록

    코로나 팬데믹 이후 다양한 비대면/온라인 전시에 대한 시도와 요구가 급증하였지만 플랫폼에 대한연구가 미비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전시를 기획하는 단계에서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한 각 전시 플랫폼 유형별 주요 특징과 개선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온라인 전시 플랫폼을 A~F 상위 유형 6개, A1~F2 세부 유형 15개로 세분화하여 각 유형별 사용자 경험과 선호도를 조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전시 플랫폼 유형에 따라 5개의 사용자 경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사용자 개인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고 이에 따라 상호 작용 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시를 관람할 의향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15개 유형별 전시 샘플을 제공하여 체험하게 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0~50대까지 남성 32명 여성 98명 총13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전시 플랫폼 유형에 따라 만족도, 흥미도, 몰입도, 이해도, 소통·현존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에 따라서는 흥미도, 소통· 현존감에서 상호 작용 효과를 보였다. 온라인 전시플랫폼 중에선 F유형이 만족도, 흥미도, 몰입도, 소통· 현존감이 가장 높고 A유형이 모든 항목 선호도가 낮았으며 B유형이 이해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E유형에서 특이점을 발견했다. 본 연구를 통해 각플랫폼 유형별 세부적인 연구 결론을 제시하였다. 향후 온라인 전시 기획 시에 방법적인 수단으로 각특징 요소들을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기획하고자 하는 주제를 잘 살릴 수 있는 전시를 만들어낼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COVID-19 Pandemic, the demand for various non-face-to-face or online exhibitions have soared, although research on such platforms has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major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for each type of exhibition platform based on user experience to help in the stage of planning online exhibitions. As a research method, the platform was divided into six upper categories (Types A to F) and 15 detailed types, (A1 to F2) to investigate user experience and preferen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user experienc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ypes of online exhibition platforms and the level of user's individual media literacy ability. Interactive effects based on media literacy ability level were also explored. Accordingly, samples of 15 types of exhibitions were provided and 32 men and 98 women (aged 20–50 years) watched these and then completed a survey. A total of 130 responses were analyzed, and furth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participants.
    Study results confir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interest, immersio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 presence level, depending on the type of platform. Further, an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in interest, communication · presence depending on media literacy ability. Among the online exhibition platforms, Type F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interest, immersion, and communication · presence, Type A had the lowest preferences across all elements, and Type B had the highest understanding. From which it is hoped that each characteristic platform element can be utilized appropriately as a method of organizing exhibitions that optimizes their purpose and the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