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상업공간에 나타나는 플랫폼화 특성 연구- 스포츠 매장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Trend in Modern Commercial Space - With a focus on sports brand stores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7.12
11P 미리보기
현대 상업공간에 나타나는 플랫폼화 특성 연구- 스포츠 매장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2권 / 6호 / 125 ~ 135페이지
    · 저자명 : 이시연, 이찬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소비자들의 소비형태가 온라인과 모바일 중심으로 변화하게 되면서 오프라인 공간의 역할이 점차 변화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났다. 단순 판매를 위한 공간보다는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고 소통하여 브랜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공간으로 변하고 있다. 더 나아가 오프라인 매장은 플랫폼이라는 더 진화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스포츠 브랜드를 중심으로 활발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랫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이를 바탕으로 상업공간인 스포츠 매장에서 보이는 풀랫폼화 경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현대 소비자의 소비 현황에 대해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플랫폼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후, 대표적 오프라인 플랫폼 공간의 실증 사례를 분석하여 플랫폼 공간의 이용 특성에 따른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키워드를 한국, 미국, 독일 영국의 4개국 5개의 다국적 스포츠브랜드에서 운영 중인 플랫폼 상업공간에 대입하여 플랫폼화 특성을 분석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 국내 ․ 외 스포츠브랜드인 르꼬끄스포르티브, 나이키, 아디다스, 라파, 반스의 플랫폼 상업 공간 특성을 분석한 결과 능동성, 지속성, 개방성, 연결성의 특징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개방성과 연결성은 모든 공간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참여자들이 브랜드에서 제공하는 공간 및 이벤트에 함께 함으로서 융복합적 공간에서 쌍방향적인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브랜드매장의 플랫폼화 특성에 대하여 모색했다. 스포츠브랜드 매장의 플랫폼화 특성은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하였다. 또한 다양한 카테고리와 융합된 복합 공간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많은 소비자의 방문을 유도하였고 소비자들은 다른 소비자들과 만나고 교류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그들을 주체로 하는 새로운 브랜드 문화를 만들었다. 이처럼 오프라인 매장의 플랫폼화는 소비자의 지속적인 매장방문을 유도 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가치를 향상 시킨다. 본 연구는 상업공간에 플랫폼화의 장점을 적용시켜 오프라인 공간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고 문화를 창조하는 공간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플랫폼 공간 분야의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상업공간의 진화된 모습을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consumption patterns of modern consumers shift toward online and mobile technologies, there are gradual changes in the roles of offline spaces; they are becoming user-centric spaces where consumers can experience brand culture through person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s opposed to simple sales spaces. Furthermore, offline stores are evolving into spaces referred to as platforms, a phenomenon that is seen especially among sports brands. The present study therefore set out to investigate, based on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platforms, this trend in sports stores that provide commercial spaces. (Methods) The study looked at modern consumption patterns and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n representative, empirical cases of offline platform spaces were analyzed to identify keywords, according to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spaces. These keywords were applied to the commercial platform spaces managed by five multinational sports brands in South Korea, the U.S.A., Germany, and the U.K.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 trend and report the findings. (Results) The study analyzed the commercial platform space characteristics of five domestic or international sports brands, including Lecoq Sportif, Nike, Adidas, Rapha, and Vans; and found that activity, continuity, openness, and connectivity were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se, openness and connectivity were found in all of the spaces, indicating that consumers engaged in interactive communic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spaces and events provided by the brand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latform trend of sports brand stores, which runs programs and events to promot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s and enh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m. They came in the form of complex spaces fused with various categories to attract multiple consumers. Consumers met and interacted with other consumers, forming a network and creating a new brand culture in which they are the subjects. The platform trend of offline stores not only provided incentive for ongoing visits from consumers to the store, but also improved brand value.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in applying the advantages of the platform trend to commercial spaces, create new roles for offline spaces, and build their cultures. In the future, commercial spaces will continue to evolve through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platform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