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숏폼 플랫폼과 대중음악의 소비 현상 - 로제(Rosé) 『APT』의 청각 기호와 문화적 수용 - (The Phenomenon of Popular Music Consumption on Short-Form Platforms - Auditory Semiotics and Cultural Reception Analysis of Rosé’s “APT”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25.05
22P 미리보기
숏폼 플랫폼과 대중음악의 소비 현상 - 로제(Rosé) 『APT』의 청각 기호와 문화적 수용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음악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음악콘텐츠 / 9권 / 1호 / 174 ~ 195페이지
    · 저자명 : 조성주, 윤지원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플랫폼 기반 숏폼 콘텐츠 환경에서 대중음악이 청각적 기호(이어콘, 스피어콘 등)로 기능하는 양상을 로제(Rosé)의 『APT』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훅(Hook)의 반복성과 살리언스(Salience) 효과에 주목하여 음악이 인지적 주목성과 기억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플랫폼을 매개로 문화적 경계를 넘나들며 확산되는 현상을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스테이크(Stake)의 본질적 사례 연구와 인(Yin)의 설명 사례 연구를 결합한 질적 접근을 채택하였으며, 문화기호학·인지심리학·담론 분석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APT』의 훅 구조는 국내 청중에게 권주(勸酒) 놀이문화 코드로, 글로벌 청중에게 리듬 기반 놀이 코드로 각각 수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와이지 플러스(YG PLUS) 주가 급등과 같은 실질적인 산업적 파급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HCI(Human-Computer Interaction) 개념을 대중음악 콘텐츠 분석에 적용하고 청각 구조-인지 반응-문화 수용-플랫폼 확산으로 이어지는 복합 작동 메커니즘을 통합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대중음악 연구 분야에서 독창성을 보이고 이론적 기여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popular music functions as an auditory symbol (e.g., earcons, spearcons) in the short-form content environment of digital platforms, focusing on Rosé's "APT" as a case study. By examining the repetitive structure of the hook and its perceptual salience effect, the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se sonic elements enhance cognitive attention and memory formation, while facilitating cross-cultural diffusion through platform-driven circulation. The methodology adopts a qualitative approach combining Stake's intrinsic case study with Yin's explanatory framework, integrating analytical tools from cultural semiotics, cognitive psychology, and discourse analysi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hook structure of “APT” resonated with Korean audiences through traditional “gwanju” (勸酒, alcohol-encouraging) play culture codes, while global audiences engaged with it primarily through codes of rhythmic play. These distinctive reception patterns generated tangible industrial impacts, including a notable surge in YG PLUS stock prices. The study further applies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concepts to music content analysis and offers theoretical insights by presenting an integrated mechanism that links auditory structure, cognitive response, cultural reception, and platform-driven diffu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음악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