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폴 발레리Paul Valéry의 본성적 ‘자아’와 우주 발생론 : 인도 신화를 중심으로 (Le Moi naturel et la cosmogonie chez Paul Valéry : au point de vue de la mythologie indeinne)

6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8 최종저작일 2013.12
62P 미리보기
폴 발레리Paul Valéry의 본성적 ‘자아’와 우주 발생론 : 인도 신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문화 / 23호 / 463 ~ 524페이지
    · 저자명 : 정광흠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인도 신화의 우주적 감각의 세계관을 발레리가 과연 어떻게 물리적 현상으로 재현하며, 특히 어떻게 시간과 공간의 운동성을 우주와의 교감 작용으로서 묘사하는 지에 관하여 분석하고 그것의 신화적 근원을 밝히고 있다. 인도 신화의 근원으로부터 출발하여 무용의 인위적인 예술의 표현에 이르기까지 춤의 행위는 발레리에게 자의적이든 아니면 비 자의적이든 시간과 공간 속에 복합적으로 내재하는 정신과 감각에 의한 유기적인 ‘운동성’의 몇 가지 원초적인 영감을 제공해주고 있다. 나아가 발레리에게서 춤과 헤엄은 합리적 원칙의 운동성과는 달리 인간의 가장 심오하고 원초적이며 본성적인 감각의 재현이라는 점에서 서로 일치한다. 그리고 발레리가 상기하는 ‘우주의 물’은 모태 본능의 순순함 그 자체로서 완벽한 평화와 생명력으로 가득한 어머니의 자궁이다. 그것은 지중해이며 곧 인도 신화의 주제에서 빌려오는 ‘우유의 대양’을 의미한다. 바로 이 ‘순수하고 깊이 있는 본질’의 ‘신성한 쓴맛’을 내는 영생의 신주를 마시는 것, 이것은 자신의 존재를 위해 본성적 사랑을 비유하는 놀이, 그리고 어머니의 품속으로 되돌아가려는 본능적인 욕망의 표현, 즉 우주의 본질을 향한 영원한 회귀일 것이다. 여기서 발레리는 ‘자아’에 관한 인본성의 본질적 사랑을 구현하기 위해 또 다른 회귀를 시도한다. 인도신화의 신비적 감각 세계를 재현하는 우주적 춤과 성행위는 자아를 소멸하여 우주의 에너지와 교감하는 방식으로 발전한다. 브라흐만 철학과 불교 철학의 사고를 통 털어 신화적 깊이에 있어서 춤과 성행위는 무화의 절대적 상태로 들어가는 동일한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결국 망각의 황홀경은 육체적 감각의 절정과 더불어 영원한 자유를 얻는다. 우유의 대양에서 명상에 잠겨 잠들어 있는 ‘나라야나’의 상징성의 본질은 발레리에게 영원한 평화의 안식처, 초월적인 ‘자아’의 우주적 감각을 발견케 하고 있다. 발레리는 인도 신화의 우주 발생론을 토대로 인간 존재의 필수적인 감각 조건을 만족시키는 심리적 원형에 대하여 고민하고 있다. 인간에게 본성적으로 아니면 존재 그 자체에 있어서 ‘경이로운 불안감’은 예술의 창조 작업을 위한 숭고한 감감작용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En exprimant ‘la découverte de l’homme’, Valéry, dans la Philosophie de la danse, représente «un plaisir qui allait jusqu’à une sorte d’ivresse, et si intense parfois, qu’un épuisement total de ses forces, une sorte d’extase d’épuisement pouvait seule interrompre son délire, sa dépense motrice exaspérée». Dans le même sens du plaisir, Jayadéva, dans son dithyrambe du Gîta-Govinda, représente la danse de Harî, une des nombreuses formes de Vichnou. Excités par le brûlant désir des jeux de la volupté, Hari et son amante Râdhâ cherchent au cours de la danse Râsa l’énergie vitale. Voilà la source du plaisir mystérieux valéryen. Ensuite l’eau, «élément essentiel de toute vie», est la mesure du temps de même que le soleil, l’eau est le principe de l’harmonie comme celui du monde. Finalement, chez Valéry, sous les diverses infleunces de l’eau mythique, la mer devient l’Océan de lait, soit le lieu de naissance, soit la substance maternelle, soit l’essence da la création universelle. Or tout au long de 「La Dormeuse」, Valéry évoque l’image de ‘Vichnou-Narayana’ sous l’influence de la mythologie indienne. Et sous une autre influence de Flaubert, Valéry évoque « d’étranges mondes abstraits». Malgrè tout, Valéry crée lui-même, dans 「La Dormeuse」, une nouvelle image d’un monde abstrait : ‘Vichnou-Narayana’ couché sur un lit de lotus, porté par les replis du grand serpent Ananta, qui élève au-dessus du dieu endormi méditant, ses sept têtes formant une éspèce de dais – du sein de Narayana, richment décoré d’un collier d’étoiles et d’une couronne de pierres précieuses en forme de disque, croit un lotus qui porte Brahma dans son calice ; Lakchmi est aux pieds de son divin époux. L’épisode des dieux indiens est à un stade encore plus avancé de la destruction du symbole. Ils sont réduits à des formes symboliques obscures, non commentées et même difficilement identifiables. Le dieu rose qui mord son orteil dans une attitude à la fois mystérieuse et grotesque, c’est Vichnou qui a, selon le vichnouisme, le premier rôle dans la création du monde. Il flottait avant la création sur les eaux, couché sur une feuille de figuier, sous la forme d’un jeune enfant qui porte son pied vers sa bouche. Cette scène évoque la méditation et le repli sur soi de la divinité avant le commencement. Valéry désigne la cosmogonie particulière d’une religion bien déterminée(le vichnouisme) sans la nommer et en la vidant de son sens pouratnt capital, laissant subsister un symbole guetté par le grotesque, un dieu en enfance ; d’autre part, cette cosmogonie est télescopée et intégrée par une cosmogonie d’origine différente : le désemboîtement des trois dieux renvoie à la théorie sivaiste du Lingam, l’arbre de vie. Les dieux de la tirinité iendienne se détachent les un après les autres et il ne reste plus que la fleur sous la garde de Vichnou. Le désemboîtement des dieux paraît bien se référer à cette conception, malgrè l’absence du lingam. Enfin toute la forme veille ; et tous les yeux sont ouve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