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포세대의 감정 풍속도 (Aspects of Emotional Customs by the N-po Gener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9.02
31P 미리보기
N포세대의 감정 풍속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5권 / 1호 / 55 ~ 85페이지
    · 저자명 : 서연주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의 N포세대가 그려지는 사회적 맥락을 최근의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우리 시대의 풍속도를 분석해 보고 대중매체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 타진해 보았다.
    그 결과 전 지구적인 청년실업과 삶의 양극화, 불안정성, 성과사회의 각박한 현실에 혼밥하는 것으로 잉여자가 된 자신을 위무하며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하는 N포세대의 내면에 주목하게 되었고(드라마 <혼술남녀>, <식샤를 합시다>), 주거고민이 결혼 기피로까지 이어지는 N포세대가 추구하는 ‘합류적 사랑’의 경향을 엿볼 수 있었다.(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영화 <소공녀>)는 문화적 감수성의 새로운 세대 출현이 진행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진정성 있는 삶에 대한 성찰을 던져주었다. 드라마 <청춘시대>는 청년 실업, 비정규직, 파편화된 가족, 데이트 폭력 등을 비중있게 다루면서 타인의 상처에 대해 공감하고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실천하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이 감정공동체의 성장담으로 그려졌다.
    살펴본 작품들은 지금 한국사회가 숙고해야 할 문제는 결국 생존 자체를 넘어선 사람답게 사는 것, 사람됨의 조건을 찾아가는 것이란 성찰을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공공성이다. 때문에 세대별 갈등이 촉발될 수밖에 없는 현실 가운데 공감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대중매체의 감수성 훈련이 긴요해진다. 이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공론화하는 것이 또한 대중매체의 책무가 아닐까 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real meaning behind the stories in which the N-po Generation (Millennial Generation) is depict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entertainment programs, TV series, and movies. This could be an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emotional customs of our era, which have been described by television media as portraying the complex and multifaceted reality in the most mundane and popular manner while influencing the public.
    Problems with youth unemployment, the polarization of life, and instability are not only global issues but situations that specifically occur in South Korea. It is thus vital to pay attention to the inner side of the N-po Generation who enjoy Sohwakhaeng (small but certain happiness) by eating alone as the placebo effect of this tough reality. This is an agenda that should be viewed as a problem in the fundamental design of South Korean society.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shown in the TV series <Drinking Solo> has been drawing attention. The TV series Because <This is My First Life> depicts a love narrative that concentrates on emotions in a relationship that started between housemates due to poverty and housing problems, leading to marriage. Thus, the TV series persuasively dramatized ‘confluent love’ in the N-po Generation.
    In the movie <Microhabitat>, Miso can be regarded as a symbol that represents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of cultural sensitivity. There is a suggestion in the sequence of <Microhabitat> that identifies the pursuit of taste with the discovery of identity. The TV series <Hello, My Twenties!> is a growth narrative that deals heavily with youth unemployment, temporary workers, fragmented families, and dating violence. The housemates in <Hello, My Twenties!> fi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nd courageously approach their individual problems. In the process, images of women, who are empathetic towards others and are willing to jointly solve their problems, are calmly depicted to reveal a story of growth revolving around a ground emotional community.
    The current problem that South Korean society should contemplate is how to be fully human beyond mere survival, and how to further seek the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In that sense, what we should pursue is a notion of ‘publicness’, which can put several generations together. Because of the reality that confliction between generations must be triggered, in order to make a passage of sympathizing, mass media’s sensitivity training becomes more important. This may be the duty of mass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