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후반 ‘자유’의 해석을 둘러싼 갈등 —『사상계』에 실린 평론과 심사평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onflict in the Interpretation of Freedom in the Late 1950s -Focusing on the Review and Commentary of Sasangy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6.09
32P 미리보기
1950년대 후반 ‘자유’의 해석을 둘러싼 갈등 —『사상계』에 실린 평론과 심사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67권 / 257 ~ 288페이지
    · 저자명 : 최창근

    초록

    이 논문은 1950년대 남한 사회 내에서 벌어진 담론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한국전쟁이 ‘민주주의’의 의미에 대한 갈등이었다면 남한 사회는 ‘자유’를 가지고 투쟁했다. 그동안 해방 후부터 한국전쟁을 지나 1960년대까지 한국사회가 자유를 어떤 식으로 전유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어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단순히 자유에 대한 의미규정을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안에 들어있는 이데올로기와 현실적 배경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자유’의 가치를 선점하고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활용하기 위한 경쟁은 전쟁과 같은 담론의 충돌을 불러왔다. 따라서 전선을 나누고 이분법적인 관점으로 나누어 접근하는 것은 논의를 단순화시킨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큰 틀에서 다양한 담론들의 숨은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실존주의적 입장에서 자유는 전후의 혼란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찾기 시작한 인류에게 과거의 전통과 권위를 부정할 수 있게 하는 이론적 토대였으며 사유의 경계를 넓혀 인류의 새로운 도전을 가능하게 했다. 반면 의지할 만한 가치가 사라지고 인간성에 대한 믿음마저 사라진 현대 사회에서 자유는 불안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소이기도 했다. 이에 자유의 무제한적인 향유를 구속할 만한 적절한 경계가 필요했고 그 과정에서 휴머니즘이 부각되었다. 휴머니즘은 자유를 해방과 투쟁의 의미로 치환시켰으며 인류애의 실천을 위한 수단으로 한정했다. 따라서 휴머니즘은 자유를 얻기까지에 과정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며 자유를 얻고 난 후에 대해서는 오히려 부자유를 강요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불러왔다.
    또한 현대사회의 예측불가능성을 극복하고 부조리하고 불확실한 인간세계를 구원하기 위해서 유신론적 실존주의가 각광을 받게 된다. 즉 실존주의는 유신론적 실존주의에 한해서 휴머니즘과 연합하게 되고 무신론적 실존주의는 이 과정에서 소외와 몰락의 길을 가게 된다. 신으로의 복귀는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파괴된 인간 사회의 질서와 가치, 윤리와 도덕을 대신해 인간이 믿고 의지할 수 있는 확실성을 부여해준다.
    1950년대라는 복잡미묘한 정치 현실에서 자유는 다양한 층위의 담론과 결합하며 자신의 의미를 확장해 나갔으며 한편으로는 이데올로기의 갈등 속에서 의미의 왜곡과 변형을 당하기도 했다. 단어의 의미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구조 속에서 나아가 사회 내의 힘의 역학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자유의 의미가 변하는 것은 당연한 현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자유’가 가지고 있는 의미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flict that has arisen in the discussion of South Korean society in the 1950s. South Korean society struggled for freedom, and the Korean War was fought for democracy. There have been numerous studies about how Korean society was occupied with freedom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until the 1960s. This article analyzes Korean society during this time on the basis of ideology and realistic background, rather than simply enumerating the definitions of freedom.
    The competition surrounding preoccupying and utilizing freedom for personal gain brought about collisions in discussion. Dividing the fields and approaching the discussion with a dichotomous point of view can simplify it, and this is an effective way to understand hidden intentions.
    With an existential point of view, freedom was the theoretical ground that enabled the negation of tradition and authority, and it resulted in new challenges as the borders of reason expanded. However, freedom was also one of the elements that accelerated anxiety in modern society, where there were no reliable values or faith. Then, there emerged a need for boundaries to restrain the immoderate freedom, so humanism rose up. Humanism transposed freedom into the meaning of liberation and struggle, and it confined itself to the means of practicing brotherhood. Thus, humanism handles only the procedure of achieving freedom; after the procedure, it forced ironic restriction.
    In addition, in favor of overcoming and saving an unpredictable and irrational world, theistic existentialism stood out. In other words, existentialism, specifically theistic existentialism, cooperated with humanism, and atheistic existentialism led to its downfall. Returning to God granted reliability upon human society instead of irrevocably damaging social orders, virtues, ethics, and moralities.
    In the complex political situation of the 1950s, freedom expanded its meaning and combined with several layers of discussion.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distorted and deformed through ideological conflict.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the meanings of words are not fixed and they are rather determined by power dynamics,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freedom are reasonable.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and addresses the variation of the meaning of free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