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출토 고려시대 명문 평기와의 특징과 의의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lain Roof Tile with Inscription from the Goryeo Dynasty Excavated in Gyeongju)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20.12
36P 미리보기
경주 출토 고려시대 명문 평기와의 특징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와학보 / 2호 / 130 ~ 165페이지
    · 저자명 : 유환성

    초록

    경주는 신라왕경이라는 배경으로 인해 고려시대 유적에 대한 인식이 고고연구에 크게 반영되지 않고있다. 본고는 경주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명문 평기와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분석 및 고찰하여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먼저, 명문 평기와 48점에 대한 명문 속성(명문새김방법, 명문구조, 명문내용)과 기와 속성(타날판 길이및 문양)으로 살펴보고 4개 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유형에 대하여 3단계로 편년했다. 그 결과Ⅰ〮Ⅱ유형이 속한 1단계는 10세기 중기부터 11세기 전기까지로, Ⅲ유형이 속한 2단계는 10세기 후기부터 13세기전기까지로, Ⅳ유형이 속한 3단계는 11세기 후기부터 14세기 전기까지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경주 출토 고려시대 명문 평기와의 특징을 3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첫째, 기와 외면에 명문의 방곽이 보이는 주 성행시기는 10세기 중기에서 11세기 전기로 보인다. 둘째, 기와 명문에서 보이는 내용의 경우, 11 세기 전기까지 명문의 내용이 장소명으로 국한되었지만, 그 이후로 장소명과 함께 연호명, 간지명, 시주명등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셋째, 타날문양의 경우 10세기 혹은 11세기 전기까지 단독문의 타날문양이 주로보이는데, 11세기 이후부터 복합문의 타날문양도 단독문과 함께 공존하면서 확인된다. 이러한 특징은 각각의 유형내 속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단절되는 양상이 아니라 혼재되어 나타나며, 각 유형마다 주 성행시기가 있다는 측면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기와에 보이는 명문을 분석한 결과, 경주 출토 고려시대 명문 평기와의 수급관계라는 측면에서사찰과 역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사찰의 경우 사찰명 평기와가 다수의 출토지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사찰과 사찰간의 기와에 대한 복수공급이 있었고, 역원의 경우 기와 명문내용과 문헌을 통해 지방관이원을 조영하는데 일정 부분 관여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의를 살피는 과정에서 장소가 표기된명문 평기와 가운데, 사정사, 밀곡사, 왕만사, 다연원, 미륵원, 대로원, 옥간요 등은 당대 실제 위치에 대해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e perception of the remains from the Goryeo Dynasty in Gyeongju has not been significantly reflected in the archeological studies due to the city’s background as the ancient royal capital of Silla. This study analyzed and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plain roof tile with inscription from the Goryeo Dynasty excavated in Gyeongju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remains.
    First, the properties of inscription (inscription method, inscription structure, contents of inscription) and the properties of the tiles (length and pattern of beating plate) of the forty eight pieces of plain roof tiles with inscription were examined. Roof tiles were then divided into four types, and each typ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o examine the chronolog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set Stage 1, to which Types Ⅰ and Ⅱ belong, to the period from the late 10th century to the first part of the 11th century, Stage 2, to which Type Ⅲ belong, to the period from the late 10th century to the first part of the 13th century, and Stage 3, to which Type Ⅳ belong, to the period from the late 11th century to the first part of the 14th century. In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in roof tiles with inscriptions excavated in Gyeongju into the following three; First, the prevailing period in which the long square of inscription appear on the outer side of the roof tile appears to be between the mid 10th century and the first part of the 11th century. Second, as for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they were limited to place names until the first part of the 11th century, however, began to include the era name, sexagenary cyclename, and donor’s name alongside the place name afterwards. Third, single beating patterns were mainly observed on the tiles from the 10th century or until the first part of the 11th century, and the multiple beating patterns were also found alongside single patterns from the latter part of the 11th century. This characteristic was not distinguished by the passage of time but the types of patterns appeared together, and each type had its own prevailing peri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inscription on the tile,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lain roof tile with inscription from the Goryeo Dynasty excavated in Gyeongju in the aspects of temple and official inn with respect to the supply of roof tiles.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at plain roof tiles with the inscription of temple’s name were found in a number of excavation sites, and this indicates that there were multiple roof tile suppliers between temples. In the aspect of official in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the local officials were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official inn to some exten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and literatures. When examining the meaning of the roof tiles, the actual locations of Sajeongsa Temple, Milgoksa Temple, Wangmansa temple, Dayeonwon Inn, Mireukwon Inn, Daerowon Inn, and Okganyo Kiln at the time were deemed to leave some room for consideration among the plain roof tile with inscription, which indicated the lo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기와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