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洪重寅의 {東國詩話彙成} 考察 -{詩話彙成}‧{詩話彙編}과의 편찬체재 및 조목 선입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onggukShihwaHwiseong』 by Hong Jung-in –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the selections of form and factorsin 『SihwaHwiseong』 and 『SihwaHwipy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8.09
29P 미리보기
洪重寅의 {東國詩話彙成} 考察 -{詩話彙成}‧{詩話彙編}과의 편찬체재 및 조목 선입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59호 / 177 ~ 205페이지
    · 저자명 : 권난희

    초록

    {東國詩話彙成}은 18세기에 저술된 인물중심의 총집류로 시화사적면에서 의미 있는 저작이다. 현재 22권 7책으로 정리되어 있지만 고려뒷부분과 조선 앞부분에 권수의 숫자가 중복되기도 하고, 異本 중 비교적 체재를 갖춘 {詩話彙成}과 {詩話彙編} 조차 결락본이거나 불분권상태이다.
    세 필사본의 간행 시기는 {동국시화휘성}이 洪重寅에 의해 먼저 편찬되었고 그 얼마 뒤인 1734년에 洪重徵 혹은 다른 누군가에 의해 초기시화휘성으로 정리되었다고 보여진다. {시화휘편}은 1817년 沈魯崇이 홍중인의 손자 집에 보관되어있던 {시화휘성}을 傳寫해두었다가 1821년 {대동패림} 편찬 시 최종 수록하였다. 필사본의 한계로 인해체재가 정밀하지 못하고 결락된 부분도 많으며, 편찬시기에 시간차가있어서인지 선입된 조목에 있어서 서로 출입이 발견되었다.
    이에 본고는 가장 처음 편찬되었고 비교적 체계가 갖추어진 {동국시화휘성}을 기준으로 3종의 편찬체재를 대조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한 후, 그 가시적인 차이점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동국시화휘성}·{시화휘성}·{시화휘편}의 선입조목을 비교하여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시화휘성}은 앞서 편찬된 {동국시화휘성}을 기준으로 인물 및 시 일화를 가감하였고, 다른 부분은 기존의 체재를 크게 건드리지 않았지만 조선조에서 왕들을 별도 조목으로 분류해둔 현상을 가장 큰 특징으로 제시하였다.
    {시화휘편}은 심노숭이 말한 필사경위나 편찬시기 및 조목의 1차적인물선입 양상만을 염두에 두고 보았을 때는 {시화휘성}을 저본으로 편찬되었을 것이라 여겨졌다. 그러나 실제 3종에 공통으로 선입된 조목의 기사를 서로 비교해본 결과 후대에 필사된 {시화휘편}이 체재 면에서는 오히려 {동국시화휘성}과 유사한 면모를 지녔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시화휘편}은 선행 저작된 두 필사본을 함께 참고하였거나 적어도 심노숭이 저본으로 삼았던 {시화휘성}은 현존본과는 다른 {동국시화휘성}의 모습을 많이 간직한 초기 형태의 {시화휘성}이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고는 3종을 종합하여 {동국시화휘성}의 완전한 면모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시도는 {동국시화휘성}이 갖는 독자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의 기초 작업임을 밝힌다.

    영어초록

    『DonggukShihwaHwiseong』 is book of illustrated poems which was written in 18 century. Typical different versions are 『SihwaHwiseong』 and 『SihwaHwipyeon』.
    First, Hong Jung-in was written 『DonggukShihwaHwiseong』, and it was reconstructed to 『SihwaHwiseong』 by an unidentified person in 1734. Then, in 1817, Shim No-sung copied 『SihwaHwiseong』 which was stored by Hong Jung-in’s grandson, and he included it as 『SihwaHwipyeon』 when he completed in 1821. Because it was manuscript, the form was not accurate and lacked, and the selected factors were exchanged among three versions.
    Thus, this paper will compare the forms of three versions, based on 『DonggukShihwaHwiseong』, show the results as a table, and write the visual differences. Furthermore, it will draw several comparisons among 『DonggukShihwaHwiseong』, 『SihwaHwiseong』 and 『SihwaHwipyeon』.
    In 『SihwaHwiseong』, several characters and anecdotes about poems were added or subtracted. In addition, it especially separated several Kings of the Joseon Dynasty, leaving most of the original version not modified.
    『SihwaHwipyeon』 was thought that it was mostly based on 『SihwaHwiseong』 when the reason of transcription, time periods, and character-selected phenomenon of factors which were said by Shim No-sung, were only considered. However, after comparing factors between articles on commonly selected elements in the three versions, 『SihwaHwipyeon』 which was written later is more similar with 『DonggukShihwaHwiseong』 in terms of form. Therefore, 『SihwaHwipyeon』 referred to other two versions, or it has more similarity with 『DonggukShihwaHwiseong』.
    This paper will reconstruct 『DonggukShihwaHwiseong』 as a comprehensive study of three books. Also, the study will go further to draw an independent meaning of the 『DonggukShihwaHwis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