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靑丘永言』 박순호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선행본일 가능성에 대하여 (The indications that the Cheongguyoungan which was once owned by Park Soonho was compiled before the Cheongguyoungan which is owned by and housed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7.12
43P 미리보기
『靑丘永言』 박순호본,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김천택 편 『청구영언』의 선행본일 가능성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60호 / 223 ~ 265페이지
    · 저자명 : 강혜정

    초록

    본고는 2012년 최현재에 의해 처음 학계에 소개된 『靑丘永言』 박순호본(『청박』)과 기존에 『청진』으로 불리던 김천택 편 『靑丘永言』(『청김』)을 비교하여 『청박』이 『청김』의 선행본일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최현재는 『청박』을 소개하면서 『청박』이 『청김』의 초고본일 가능성과, 『청김』의 후대본일 가능성을 모두 제시하였다. 하지만 『청박』과 『청김』이 동일한 편자에 의한 가집이라는 사실을 토대로 둘을 비교해 본 결과, 『청박』은 『청김』의 선행본일 가능성이 농후했다. 첫째, 김천택이 남긴 여항인 발문이 『청김』에는 있지만, 『청박』에는 없으며, 여항인의 작품 수 또한 『청박』이 『청김』보다 적다는 점에서 볼 때 『청박』이 선행본일 가능성이 높다. 김천택은 『청김』 ‘여항육인’에 주의식과 김성기 작품의 全譜를 수록하고, 그 뒤에 발문을 통해 김천택이 전보를 수집하지 못해 가졌던 한스러움과 全譜 수집 과정, 그리고 전보 수집 후의 감격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반면 『청박』에는 이러한 발문이 없고, 이 작가들의 작품도 일부만 수록하고 있다. 편자가 자신이 작성한 기록을 삭제하며 재편집한다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는 점과, 김천택이 全譜 수집에 대한 강한 열망과 의지를 가졌던 점을 고려한다면, 발문도 없이 작품의 일부만을 수록하고 있는 『청박』은 全譜를 모으기 이전에 편찬된, 『청김』의 선행본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둘째, 무명씨 항목의 경우, 『청김』과 『청박』 모두 주제별 분류를 취하고 있는데, 『청김』은 주제어를 제시하고 세밀하게 분류한 반면, 『청박』은 주제어를 명시하지 않았고 『청김』보다 더 큰 범주의 주제로 분류하되 때로는 연상작용에 의해 배치하기도 하는 등 『청김』보다 덜 체계적이었다. 『청박』을 후대본으로 본다면, 『청박』은 『청김』이 작은 범주의 주제어에 따라 질서정연하게 배치한 작품들을 굳이 뒤섞어 큰 범주의 주제로 재배치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데 이는 매우 부자연스럽다. 셋째, 열성어제의 위치 또한 『청박』이 선행본일 가능성을 보여준다. 『청김』의 열성어제는 이삭대엽의 중반부에 놓여 있고, 다수의 18세기 가집들이 열성어제를 이삭대엽의 맨 앞에 두는 것을 고려하면, 열성어제는 이삭대엽 중반부에서 이삭대엽 서두로 이동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청박』의 열성어제는 가집의 맨 뒤, 삼삭대엽 다음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열성어제의 배치 경향으로 볼 때, 『청박』이 『청김』보다 후대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넷째, 『청김』은 김천택의 작품을 30수나 수록하고 있는데 비해, 『청박』에는 김천택의 작품은 단 한 수도 없다. 편자가 재편집 과정에서 자신의 작품을 모두 삭제했다고 보는 것은 상식적이지 않다. 따라서 『청박』은 아직 자신의 작품을 수록하지 않은 시기에 편찬된 가집으로 『청김』의 선행본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다섯째, 작가에 관한 정보를 담은 小註와 작품 표기 양상을 비교해 보아도 『청박』이 선행본일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청박』에만 존재하는 악곡의 풍도 형용 역시 『청박』이 이른 시기에 편찬된 가집임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dvance the possibility that the Cheongguyoungan which was once owned by Park Soonho(Cheong Park) was compiled before the Cheonggu youngan which is now owned by and housed in the National Hangeul Museum(Cheong Kim). There are many Shijo anthologies entitled Cheonggu youngan. Cheong Ki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having been compiled by Kim Cheontak in 1728. There is a record of Kim’s compilation in Cheong Park but there is no record of exactly when it was compiled. As a result, Cheong Kim is known as the first Shijo anthology. However considering that both Cheongguuoungan were compiled by the same person, it was likely that Cheong Park was published earlier than Cheong Kim. This is because, first of all, Cheong Park contains fewer works produced by middle class authors than Cheong Kim, and unlike Cheong Kim there are no Chinese postscripts about the works which demonstrates Kim’s aspiration to assemble as compendious as possible a collection of works of such writers, and the way in which he collected them. Because Kim belonged to this middle class, he made a special effort to collect works of this class. Considering his goals as a collector, it can be assessed that Cheong Park, which contains only a small selection of middle class works without postscripts, was compiled earlier. Second, both anthologies classified the works whose writers could not be identified by theme. All the texts in Cheong Kim were identified the subject of the works and classified accordingly. Although Cheong Park also arranged the works by subject, it did not do so as systematically as Cheong Kim and it did not identify the subjects. Third, in Cheong Park, the works of the kings are placed at the end. Given that in the 18th century, the works of kings tended to be placed in the beginning of the anthologies, it is likely that Cheong Park was compiled very early. Fourth, Cheong Park has none of Kim’s works, but Cheong Kim contains 30. In addition to these indications, it is more plausible to place the publication of Cheong Park before that of Cheong Kim in the light of the information each provides about the relevant writers, their respective notations on the works they include, and their respective explanations of the melodies they cont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