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任天常 編著 『瑣編』 연구 (A Study on 『Soaepyeon瑣編』 of Im Cheons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7 최종저작일 2018.10
31P 미리보기
任天常 編著 『瑣編』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51권 / 231 ~ 261페이지
    · 저자명 : 조정윤

    초록

    본고는 任天常(1754-1822)의 編著 『瑣編』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쇄편』은 모두 6책으로, 1책은 任相元(1638-1697)의 「郊居瑣編」(原集), 2-5책은 任天常의 「任氏家言」과 「試筆」(이상 續集)로 구성되며, 6책은 『瑣編別集』으로 任相元의 「郊居瑣編下」와 任天常의 「試筆緖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高祖와 高孫의 필기를 합본하였고, 家門遺事인 「임씨가언」을 함께 수록하였으며, ‘箚錄’의 기준에 의해 『쇄편별집』을 별도 편성하였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필기류와 차별적 구성을 보여준다.
    「교거쇄편」은 사대부의 일화, 그 중에서도 광해군폐위와 인조반정, 병자호란과 같은 16~17세기의 혼란했던 시기를 살아간 역사인물의 인품과 학문, 出處, 업적 등에 대한 이야기가 다수를 이루며, 敎訓的이고 鑑誡的인 성격을 갖는다. 「시필」 역시 인물일화 및 시화를 기록한 것인데, 17~18세기 소북 및 저자의 집안과 가까웠던 少論과 南人에 대한 이야기가 풍부하다. 또 호방하고 탈속적이며 유머가 있는 인물에 대한 기사 및 비교적 가볍고 해학적인 내용이 많다. 「임씨가언」은 저자 선조들의 과거와 벼슬 및 문학에서의 빛나는 성취, 독서 취향과 청백리 생활 등을 기록한 것으로 豐川任氏의 名門家的 위상과 전통을 잘 보여준다. 「郊居瑣編下」와 「試筆緖論」은 우리나라 文人 및 중국 故事에 대한 논평, 우리나라 역사․지리․풍속에 대한 고증, 산수 유람의 감상 등을 기록한 것으로, 특히 「시필서론」의 遊覽 기록들은 「임씨가언」의 任琨 기사와 함께 遊記小品이라 할 만하다.
    『쇄편』 중 「교거쇄편」․「시필」․「임씨가언」은 대체로 저자가 독서 및 先輩들에게 見聞한 故事를 기록한 것으로, 조선 후기 인물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 「교거쇄편하」와 「시필서론」은 두 저자의 실제 경험과 독서를 통해 얻은 견해와 논평, 감상을 서술한 것으로, 역사․ 경제․지리․문학 등 제 방면에 대한 두 저자의 사고와 인식을 보여준다. 곧 ‘別集’의 구성은 見聞의 기록에 상대해서, 저자 자신의 견해를 서술한 것이라는 기준에 의해서 편성된 것으로, 조선 후기의 분화되어가는 筆記史의 변화 양상을 고스란히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Soaepyeon』 of Im Cheonsang’s compilation were reviewed by investigating its organization and contents. 「Soaepyeon』 is composed of 「Gyogeosoaepyeon」, 「Imssigaon」, 「Sipil」 and 『Soaepyeon-byeoljip』. It exhibited a distinctive organization different from general writings; Im Cheonsang compiled writings of great-great-grandfather together with his books, 「Soaepyeon』 contained 「Imssigaon」, record for family, and 『Soaepyeon-byeoljip』 was separately organized based on ‘Charok箚錄’.
    「Gyogeosoaepyeon」 is mainly anecdotes of the gentry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Especially, the records for historical figures who lived in chaotic period of 16-17th century such as Gwanghaegun’s dethronement, Injo’s restoration, and Byeongjahoran occupied the majority of it. It showed instructive and righteous characteristics by mostly recording character, learning, view of living, and achievement of historical figures. 「Sipil」, a record for anecdotes, poetry and paintings of various figures, has a lot of records for Soron少論 and Namin南人 close to Sobuk小北 and Pungcheon-Imssi豐川任氏‘s family of the 17-18th century and contains many relatively light and humorous contents for the figures with low worldly greed, and magnanimous and humorous spirit. 「Imssigaon」 shows well the status and tradition of Pungcheon-Imssi豐川任氏's family by recording reading tastes, poor and honest living attitude, Gwageo科擧 and government job, and achievement in literature of author’s ancestors. 「Gyogeosoaepyeon Ha」 and 「Sipilseoron」 recorded comments for our country‘s writers and chinese ancient events, historical investigation for our history, geography, and customs, and feeling of landscape sightseeing. These are documents to examine both authors’ view of literature and learning. In particular, the records of landscape sightseeing of 「Sipilseoron」 and articles in 「Imssigaon」 exhibited Short Compositional小品 aspects 『Soaepyeon』 contains many contents such as tales of person for writing types, remarks for poetry and prose, scholarly arguments, and Short Composition小品.
    「Gyogeosoaepyeon」, 「Sipil」, and 「Imssigaon」 in 『Soaepyeon』 provide a plenty of information for figur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by describing anecdotes of figures through authors’ reading and the story that they heard from the seniors. 「Gyogeosoaepyeon Ha」 and 「Sipilseoron」 described the opinions, comments, and feelings obtained through both authors’ real experiences and readings. So these showed well thinking and recognition of both authors for all aspects like history, economy, literature, and geography. In other words, there is a meaning in that organization of 『Byeoljip』 was made based on description of authors’ own original view, and showed a transfiguration trend for a Pilgi筆記 history to be separated in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