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축원-굿춤’판의 생성 국면과 사회적 성격 - 동해안별신굿의 경우 - (The Creating Situations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Gutchum-pan to Pray - Focused on Donghaeanbyulsingut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9.02
35P 미리보기
‘축원-굿춤’판의 생성 국면과 사회적 성격 - 동해안별신굿의 경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8호 / 349 ~ 383페이지
    · 저자명 : 전성희

    초록

    이 글에서 주목하는 것은 동해안별신굿에서 무당과 마을 사람들이 직접 관계 하면서 생성되는 ‘축원-굿춤’판이다. 굿판의 흥을 돋우기 위해 굿거리의 말미 또는 굿거리와 굿거리 사이에 집단적으로 벌이는 ‘허튼춤판’과는 달리, ‘축원-굿춤’은 매 굿거리에서 축원무가 구연 중에 개별적이고 반복적으로 생성되므로 별신굿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춤이다. 그러므로 ‘축원-굿춤’판의 생성배경을 살피고, 그것이 어떠한 사회적 성격을 지니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산업혁명 이후 기계제공업(機械制工業)이 확립되면서 많은 수공업 생산자들이 소비자의 입장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자본주의적 생산양식과 분배법칙은 다양한 마을굿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즉 굿에 필요한 제반시설과 도구 그리고 행위 등이 자본주의적 생산과 소비 체제 속에 편입된 것이다. 이로 인해 전통적으로 굿에서 ‘정성’을 상징했던 시간과 행위 그리고 제물 등이 지닌 의미는 기계의 대량생산화와 자본의 흐름 속에 희석되었다. 그리고 별신굿 기간 동안 행해지는 모든 가무악 연행은 자본/노동적 가치로 산출될 수 있는데, 특히 ‘축원’이 ‘춤’으로 이어질 경우, 무당은 자본적 이익[별비]과 노동의 가치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므로 넓은 의미에서 ‘재수굿’에 해당되는 ‘축원-굿춤’판에 포함된 ‘축원[말]과 춤[몸짓]’의 생산 활동은 동해안별신굿이 갖는 전통적인 제의적 맥락과 더불어 한국 자본주의의 문화적 맥락 속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겠다.
    '축원-굿춤'의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원-굿춤’은 ‘마을공동체→소집단별 경쟁→개별적 경쟁’으로 이어진다. 둘째, ‘축원 무가’ 구연이 지속적으로 반복될수록 이와 관련된 연행이 ‘굿춤’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점점 줄어들게 된다. 셋째, 다양한 축원의 대상들 중에서 특히 어촌 사람들의 생업활동과 관련된 직간접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었을 경우 ‘축원→굿춤’으로 잘 연결된다. 넷째, 축원의 범주에 포함되지 못한 집단은 반복적으로 ‘축원-굿춤’판에서 소외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discussion is focused on Donghaeanbyulsingut’s ‘gutchum-pan to pray’. ‘Gutchum-pan to pray’ is repeated in almost all of the geori in Byulsingut, so it is a crucial chum-pan that can never be disregarded in understanding Byulsingutchum. Meanwhile, it supposes that Donghaeanbyulsingut is grounded on the activity of producing ‘praying (words) and dance (motions)’ within its relationship with the structure of capitalistic society along with the context of traditional rituals. The motion that is newly generated as a response to the concrete expression of ‘praying’ conducted by a mudang (a shaman), that is, the expression coming from the inside associated with the praying is seen as gutchum. This dance is bound to be in competition and interest among shaman groups, and they tend to influence one another.
    If praying leads to dance, a mudang can gain profits from capital as well as the value of labor. When the mudang succeeds in forming a bigger bond of sympathy with her praying, the object of praying gets more eager to select byulbi and dances a heoteunchum (impromptu dance) more vigorously. This means that a mudang’s ability to perform a ritual is associated with the object of praying’s consumption. With his impromptu motions, the object of praying comes to go into ‘the field of consumption’ within the structure of capitalistic competition before he is aware of it.
    Behind the communication that praying leads to dance, a lot of things a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organically. ‘Gutchum-pan to pray’ is generated by the continuous movement of diversity and unity that the time has within the ritual of the mudang and the object of praying. It continues to create the future ‘self’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self’, and it means that he expects variability from the present ‘self’ through ‘gutchum-pan to pray’. The mudang also prays for him arranging the variability of the other (the object of praying) inside her labor. In a big picture, of course, the mudang expects the variability of herself, too, which is connected to the value of her labor. The variability that they expect forms a crucial axis that determines where the flow of time and space that the ‘gutchum-pan to pray’ has is directed to.
    The contents of praying are directly related with the villagers’ lives, and what leads to dance is mostly related with their jobs. This implies that what the mudang experiences in her everyday consuming activity i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villagers’ activity for earning money.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that praying change constantly according to the flow of capitalistic economy. Also, those striving to respond to it before anyone else also expect better life for them by substituting their self to the ‘gutchum-pan to pray’ eagerly.
    If so, who are the ones that generate ‘gutchum-pan to pray’? This can be understood through relationship among mudangs, relationship between the mudang and villagers, and also relationship among villagers. Their relationships can never be free from the concepts like labor in capitalistic society, consumption and expenditure, or time; therefore, they come to compete with the other, the present self, or the better self within the diverse relationships. This gets to be expressed in any ways, words or motions. And the range that covers the creation of either group or individual ‘gutchum-pan to pray’ in the village is the village community. Outside the range, it is upsized to the competition of the village unit, so individual praying may become diminished more easily. Although mudangs pray in each geori, it does not mean all praying leads to dance. Within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mudangs and villagers, ‘gutchum-pan to pray’ comes to be generated, repeated, and extinct. As it is mitigated to more positive competition, it does not lead to gutchum any longer. In other words, repeating ‘gutchum-pan to pray’ previously created has turned the object of praying into the state different from the former. Also, the two groups both have experienced the last step of Byulsingut, and at that point, praying does no longer lead to dance. In other words, from the position of the shaman group, it is the finish of their labor time and ritual performance,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illagers, it means the finish of consuming activity and participation in a ritual.
    The characteristics of ‘gutchum-pan to pra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goe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competition in the village group → competition in the group → competition among individuals. Second, repeated praying does not lead to ‘gutchum’. Third, in the cases of praying for each of the occupation groups, the mudang can induce a bond of sympathy from the objects of praying directly, and this lead to dance. Fourth, the group that fails in being included in the category of praying gets to be alienated from ‘gutchum-pan to pray’ repeated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