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소리 <적벽가>와 적벽가 계열 잡가의 교섭 연구 (A Study on the Negotiation between Pansori and the Jeokbyeokga Line Japg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5.04
30P 미리보기
판소리 &lt;적벽가&gt;와 적벽가 계열 잡가의 교섭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39호 / 35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상훈

    초록

    평남 용강 출신의 서도 명창 김관준은 20세기 초(1900~1910년대) ‘판소리 <적벽가>’에 기반하여 ‘서도창 <적벽가>·<전쟁가>’를 지었는데, 이 두 노래는 그의 제자들인 아들 김종조를 비롯한 김칠성, 최순경, 김주호 등에 의해 불려지며 사설의 변화와 확장을 겪게 된다.
    ‘서도창 <적벽가(화용도)>’는, ‘판소리 <적벽가>’의 ‘조조 패주’ 대목들을 본뜬 것이다. ‘죽고타령’, ‘조자룡 출현’, ‘장비 출현’, ‘관우 의석조조(義釋曹操)’ 등으로 구성된 김칠성의 <화용도>는 원작(김관준의 <적벽가>)을 크게 벗어난 것 같지 않다. 이에 반해 김종조는, 조조의 화용도 진입 전 대목들을 모두 제거하고 ‘관우 의석조조’ 대목을 크게 확대하는 전면적인 개작을 시도하였다. 작품의 전반부 즉 화용도 진입부터 관우의 등장 전까지는 ‘판소리 <적벽가>’의 사설을 참고하였지만, 작품의 후반부 즉 관우의 등장 이후 부분은 ‘경기 12잡가 <적벽가>’의 사설을 대폭 수용하였다.
    ‘서도창 <전쟁(장)가)>’는 ‘판소리 <적벽가>’의 「군사설움타령」을 모방한 것이다. ‘첫째 군사설움(초야 징집)’과 ‘둘째 군사설움(부모처자 생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김경복의 <전장가>가 이 노래의 결정판이고, ‘둘째 군사설움(부모처자 생각)’만으로 이루어진 김주호와 박수관의 <전쟁가>가 원작(김관준의 <전쟁가>)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서도창 <전쟁(장)가)>’는 ‘부모처자 생각’ 대목에 ‘초야 징집’ 대목이 덧붙으며 확대되었고, 김종조는 판소리 <춘향가>의 ‘나귀 안장 짓는 데’ 대목의 한 부분을 그대로 가져와 ‘초야 징집’ 대목에 삽입하여 부르기도 하였다. <전쟁(장)가>는 후대의 확장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판소리 <적벽가>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잡가는, 1900년대에 극장가에서 널리 공연되어 대중의 호응을 얻고 1910~20년대에 다수의 잡가집이 저작되는 등, 20세기 초 30년가량 그 전성기를 구가한 바 있다. 김관준이 ‘판소리 <적벽가>’에 기반하여 20세기 초에 ‘서도창 <적벽가>·<전쟁가>’를 창작한 것과, 이후 그 노래들이 대중의 기호에 따라 변화·확장된 것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무관치 않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Gimgwanjun is Seodo master singer from Pyeongannam-do Yonggang. In the early 20th century(1990~1910s), He made ‘Seodochang <Jeokbyeokga>·<Jeonjaengga>’ on the basis of ‘Pansori <Jeokbyeokga>’. This songs‘ Sasul has been changed and expanded by his pupils who are his son Gimjongjo, Gimchilseong, Choesungyeong, Gimjuho.
    ‘Seodochang <Jeokbyeokga(Hwayongdo)>’ is modeled on ‘Jojo Paeju’ part of ‘Pansori <Jeokbyeokga>’. Gimchilseong’s <Hwayongdo> composed of ‘Jukgotaryeong’, ‘emergence of Jojaryong’, ‘emergence of Jangbi’, ‘Gwanu Uiseokjojo(義釋曹操)’ seems that it is similar to the original version(Gimgwanjun’s <Jeokbyeokga>). On the contrary, Gimjongjo tried to overall changes that he removed all parts before Jojo’s Hwayongdo entry and expanded the ‘Gwanu Uiseokjojo(義釋曹操)’ part remarkably. He refered to Sasul of ‘Pansori <Jeokbyeokga>’ in the first half of work. However, he refered to Sasul of ‘Kyeonggi 12 Japga <Jeokbyeokga> drastically in the second half of work(after Kwanu’s appearance part).
    ‘Seodochang <Jeonjaeng(jang)ga>’ imitated 「Gunsaseolum taryeong」 of ‘Pansori <Jeokbyeokga>‘. Gimgyeongbok’s <Jeonjangga> composed of the first Gunsaseolum(‘C​onscription in first marriage night’) and the second Gunsaseolum(‘Concern about family’) is a definitive edition. then, Gimjuho and Baksugwan’s <Jeonjangga> only made up of the second Gunsaseolum(‘Concern about family’) seems to be close to the original version(Gimgwanjun’s <Jeonjaengga>). The part of ‘C​onscription in first marriage night’ is added to the part of ‘Concern about family’ and ‘Seodochang <Jeonjaeng(jang)ga>’ expanded. Moreover, Gimjongjo put a one part ‘saddling up a donkey’ of Pansori <Chunhyangga> intactly into that part of ‘C​onscription in first marriage night’. <Jeonjaeng(jang)ga> has been consistently influenced by Pansori <Jeokbyeokga>.
    In 1990s, Japga is widely presented in theater and catched on with the public. Besides, Many Japga albums maded in 1910~1920s. In this way, Japga was at its best for thirty years in the early 20th century. Gimgwanjun created ‘Seodochang <Jeokbyeokga>·<Jeonjaengga>’ on the basis of ‘Pansori <Jeokbyeokga>’ in the same period, and the songs changed and expanded to suit public. It is that Gimgwanjun promptly met the needs of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