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佛敎版畵의 樣式과 刻手 (The Styles and Woodcutters of Buddhist Woodcut Print in the Joseon Dynas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07.12
38P 미리보기
朝鮮時代 佛敎版畵의 樣式과 刻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29호 / 175 ~ 212페이지
    · 저자명 : 박도화

    초록

    조선시대 경전의 변상도는 목판화이다. 목판화는 밑그림, 판각(板刻), 인쇄의 3단계 과정을 거쳐 제작되므로 판화의 양식 분석에는 이 3단계의 과정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 중 판각은 가장 중요하다. 그것은 같은 밑그림이라도 각수의 판각방식이나 역량에 따라 인쇄된 판화는 원화(밑그림)와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목판본 불교 경전들을 새로이 제작할 때 번각(飜刻, 혹은 覆刻, : 기존의 판본을 목판에 뒤집어 붙이고 판각하는 것)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번각한 판본을 거듭 재번각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판화는 초간본의 모습이 조금씩 달라진다. 또한 동일한 경전판화를 같은 시기에 판각했더라도 각수의 판각기법이나 기술에 따라 판화는 그 모습이 달라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판화의 양식연구에서는 각수의 판각특성과 기법의 분석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된다.
    대체로 불교경전에서 변상도를 새긴 각수는 본문을 새긴 각수 보다 기량이 뛰어나며, 변상도 전문 각수로 판단되는 예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 중 여러 점의 변상판화를 새기거나 독특한 판각법으로 주목되는 각수들은 15세기에는 李長孫, 金戒信, 禪師 海悟, 16세기에는 道成, 敬衍, 釋堅, 儀璉, 打牛, 17세기에는 日旭, 智益, 演熙, 慈敏, 18세기에는 就棋, 19세기에는 應釋과 李季伯 등이 주목된다.
    또한 변상도를 판각한 각수들은 5가지 방법으로 자신의 이름을 표기한다. (1)版畵 안에 각수의 이름을 표기, (2)版心에 표기, (3)欄外에 표기, (4) 각수 1인일 경우 그 사람이 곧 판화의 각수가 된다. 예를 들어 부모은중경 같의 한 책 안에 여러 점의 판화가 실려 있는 경우 각수가 한명이면 그가 본문과 판화를 모두 판각한 것이다. (5)간기 안에 변상 각수를 표기하는 경우도 드물게 보인다. (1)의 경우에도 (1-1)郭을 만들어 표기하는 경우, (1-2)별도의 곽이 없이 이름만 작게 새긴 경우, (1-3)經題 아래에 표기하는 경우, 그리고 (1-4)간기와는 별도로 판화 안에 變相刊記를 따로 표기하는 경우 등이 있어 변상 각수의 표기방법은 다양한 편이다.

    영어초록

    Illustrations in the Buddhist scriptures from the Joseon Dynasty are wood‐block prints. Wood‐block prints are created through three processes – sketching, woodcutting and printing – and therefore all the three processe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nalyze the styles of woodcut prints. Among the processes, woodcutting is most important. It is because, for the same sketch, woodcut prints are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woodcutter’s woodcutting method or skill. Particularly when new Buddhist scriptures are printed through wood‐block printing, they are often reproduced (by attaching an existing woodblock‐printed page to a woodblock inside out and engraving the block). As reproduced books are again reproduced repeatedly, woodcut prints become mo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print. What is more, even if scriptures are printed in the same period, the style of the woodcut print varies according to the woodcutter’s woodcutting method or skill. Therefore, in studying the styles of woodcut prints, it is most important to analyze the woodcutters’ woodcutting characteristic and technique.
    In general, woodcutters who engrave illustrations in Buddhist scriptures are more skillful than those who engrave texts, and there are some woodcutters specialized in illustrations. Woodcutters who created many illustration woodcut prints or displayed unique woodcutting methods include Lee Jang‐son, Kim Gye‐sin and Buddhist Priest Haeo in the 15th century, Doseong, Gyeongyeon, Seokgyeon, Euiyeon and Tawoo in the 16th century, Ilwook, Jiik, Yeonhee and Jamin in the 17th century, Chwigi in the 18th century, and Eungseok and Lee Gye‐baek in the 19th century.
    In addition, illustration woodcutters marked their name in five ways: (1) within the woodcut print; (2) on the plate of connected edges; (3) on the margin; and (4) if there is only one woodcutter, he is also the woodcutter of the illustrations. For example, in case a number of illustrations are contained in a book as in Bumoeunjunggyeong and there is only one woodcutter, he engraved both the text and the illustrations. (5)Rarely the illustration woodcutter’s name is marked in postscript . Sometimes in case of (1), a box is used (1‐1), the name is marked in small size without a box (1‐2), the name is marked below the title of the scripture (1‐3), or postscript is added for illustrations (1‐4). Like these, illustration woodcutters’ name was marked in various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