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판비량론』신출 필사본의 해독과 유식비량 관련 단편의 내용 분석 (Decoding of the Newly Found Pan-Bi-Ryang-Ron (判比量F) Manuscripts and Analysis of Two Fragments Related to the Syllogism of Proving Mind-onlines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7.12
33P 미리보기
『판비량론』신출 필사본의 해독과 유식비량 관련 단편의 내용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4호 / 215 ~ 247페이지
    · 저자명 : 김성철

    초록

    본고는 최근에 일반인들에게 공개된 元曉의『判比量論』필사본 단편 4가지의 원문을 해서체로 복원, 번역하고 그 가운데 唯識比量과 관계된 논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4가지 단편 가운데 고토미술관 所藏本은 두 조각을 이어붙인 것으로 앞부분은 유식비량, 뒷부분에는 정토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고, 우메타니 舊藏本의 경우 유식비량에 대한 논의가 실려 있는데, 서두의 1줄 반 분량은『因明論疏名燈抄』에 인용되어 있는 부분이지만 나머지 3줄반에는 원효에 대한 文軌의 비판이 인용되어 있다. 미쓰이기념미술관 소장본의 경우도 두 조각을 이어 붙인 것인데, 앞부분에서는 比量의 효용에 대해 논의하고, 뒷부분에서는 비량의 因에 부가된 ‘自許’라는 단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쿄국립박물관 소장본의 특징은『因明正理門論』의 문장들이 인용되어 있다는 점인데, 이에 근거하여 과거에 ‘惠’자와 ‘耳’자로 알던 글자를 ‘名’자와 ‘互’ 자로 수정할 수 있었다. 또 유식비량에 대한 분석에서 문궤가 원효에 대해 비판적이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또 미쓰이기념미술관 소장본의 경우 인명학과 관계된 새로운 논의가 담겨 있기에 원효의 학문적 폭과 깊이를 더욱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code and translate the newly found Pan-Bi-Ryang-Ron manuscripts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two fragments related to the syllogism of proving Mind-onliness. The manuscripts are of 4 kinds and they are Manuscripts of Goto (五島) Museum collection, Mitsui (三井) Memorial Museum collection, Tokyo National Museum collection, and Umetani (梅渓)’s collection. You can find printed style sentences of the newly found Pan-Bi-Ryang-Ron manuscripts in this paper. The manuscript of Goto Museum collection is composed of 2 fragments. The subject of the first fragment is on the syllogism of proving Mind-onliness. And the subject of Umetani’s collection is the same as this.
    All the sentences of the Goto Museum manuscript and the sentences in the first fragment of Umetani's manuscript can be found in a paragraph of『因 明論疏明燈抄』. That is, the paragraph is a quotation from Pan-Bi-Ryang『Ron. Originally, they belong to the same chapter of the Pan-Bi『Ryang-Ron, where Won Hyo (元曉) criticized Xuan Zang (玄奘)’s syllogism of proving Mind-onliness. In this paragraph, we can find Mun Gue (文軌)’s criticism of a syllogism invented by Won Hyo. It is an interesting attitude of Mun Gue towards Won Hyo. In addition, by decoding the newly found manuscripts of Pan-Bi- Ryang-Ron, we can correct some errors in past restorations of the other manuscrip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