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송통신위원회의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 정책 — 분리편성광고(PCM)로부터의 교훈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s Mid-program Ads Policy in Terrestrial Broadcasting — Lessons from PCM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21.04
39P 미리보기
방송통신위원회의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 정책 — 분리편성광고(PCM)로부터의 교훈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언론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법 / 20권 / 1호 / 115 ~ 153페이지
    · 저자명 : 안혜상, 윤석민

    초록

    방송통신위원회는 1월 13일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하며 지상파에 중간광고를 허용하면서 허용원칙을 신설해 시청자들의 프로그램 시청흐름을 보호하고 분리편성광고(PCM)와 중간광고에 같은 통합기준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의 이 같은 중간광고 및 PCM 정책의 기본 틀은 종래의 지상파 PCM 정책에 근거할 것이라 판단되는 바 이 연구에서는 지상파의 PCM 정책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지상파에 중간광고가 도입될 시 핵심적으로 점검해야 할 사안들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PCM 정책을 살펴본 결과 종래의 PCM은 방송법상 중간광고 규정을 우회해 법적인 규제를 받지 않았고 방통위가 PCM 가이드라인 구성을 각 방송사의 자율에 맡겨 버림으로써 규제 공백 상태를 초래했다. 이 연구는 방송법상 중간광고의 규제가 방송프로그램 시간당 광고횟수를 규정하는 형식적 규제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앞으로 도입될 중간광고에 대해 분리편성의 시점에 관한 질적인 규제가 추가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특히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허용 원칙은 보다 엄중한 논의를 거쳐 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licy of terrestrial mid-program ads announc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in January 2021 based on the PCM policy, which was operated as a transitional policy. On January 13th,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nounced the amendment to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roadcasting Act and created a principle of permitting mid-program ads which would protect viewers’ program viewing flow, and announced that the same integrated regulations will be applied to PCM and mid-program ads. The study, which believes that the basic framework of the KCC’s mid-program ads and PCM policy is based on the existing terrestrial PCM policy, examines how the PCM policy of terrestrial broadcasters was operated and explores what key issues should be checked when mid-program ads is introduced. PCM was not legally regulated by bypassing mid-program ads regulations under the Broadcasting Act, and the KCC left the setup of the PCM guidelines to the autonomy of each broadcaster, thereby causing a regulatory void.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regulation of mid-program ads under the Broadcasting Act is only a formal regulation that stipulates the number of ads per hour of broadcasting programs, and suggests that a qualitative regulation on the timing of separation should be added for future mid-program ads. It is also emphasized that principle of permitting mid-program ads, in particular for news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after rigorous discussion. In the light of PCM case, the change that the introduction of mid-program ads causes in broadcasting compilation is likely to progress faster and wider than we currently expect, and the post-policy formulation approach may result in another regulatory void. Rather than relying on impact assessment after mid-program ads, the study reviewed that is a reasonable policy approach to proactively and more clearly establish policy measures for mid-program ads based on experience from PCM c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