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정주의 생명파 논의와 시간성의 의미 고찰 (The Discussion about Saengmyungpa of Seo Jeong-ju and the Significance of the Temporalit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6.12
37P 미리보기
서정주의 생명파 논의와 시간성의 의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52호 / 81 ~ 117페이지
    · 저자명 : 허요한

    초록

    서정주의 생명파 논의는 해방기에 자신의 문학사적 위치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온 담론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생명’은 그의 시학의 중요한 개념인 ‘영원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개념이기도하다. 서정주 문학은 근대라는 공간 속에서 실존의 문제를 끊임없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 바탕에는 시간의식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시인부락 당시 서정주의 ‘생명’은 시기적으로는 일본 다이쇼시기에 발생한 ‘다이쇼 생명주의’의 영향권 내에 있었다. 이후 해방기 김동리와의 관계를 통해서 ‘생명’의 시간성과 실존의식은 구체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김동리의 생명은 서구적인 모더니티에 대항한 동양을 종교적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킨 개념인 반면, 같은 시기 서정주는 그 중심에 미학적 주체인 ‘시인’를 설정했다. 서정주가 생명의 개념으로 설명한 「시인부락」이라는 기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 발흥한 근대적 ‘개인’에 대한 발견을 가리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940년대 이후 시인의 내면은 ‘질마재’를 통해 그 영원성을 드러낸다. 서정주가 만들어낸 ‘질마재’라는 공간은 실제 고향을 지칭하는데 그치지 않고, 시인의 ‘내면’을 드러낸 미적 공간으로 볼 수 있다. 1970년대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작업에서 서정주의 시간의식은 영원성과 개인의 내면이라는 ‘시간-존재’를 드러내 보임으로써 근대적 시간의 극복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관에는 미래가 부재한 것처럼 보인다. 영원의 시간은 ‘역사주의’의 부재보다도, 죽음이라는 절대적 타자를 적극적으로 대면하지 않은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받아들인 타자로서의 ‘타인’의 형상이 ‘질마재’의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사실은 서정주의 시간관의 문제를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1960, 70년대의 한국은 만주국의 국가주도형 산업개발로 인한 문제들을 그대로 답습하는 시대였다. 1970년대의 「질마재 신화」에서 공동체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미적 공간은, 실제로는 각 개인에 대한 착취가 은폐되는 구조이기도 했다. 검은색의 이미지가 사라진 그의 미적 공간은 절망이 갖는 파토스적 힘이 사라진 공간이었다. 그리고 그 절망은 타자를 마주할 때 가능한 것이었다.

    영어초록

    The discussion of ‘Saengmyungpa(生命派)’ by Seo Jeong-ju was a discourse in the process to constitute his position in literature at the time of Korean Independence. ‘Saengmyungpa’ was explained in the perspective of Greek corporality. With concern for the ancient time, modern youth's wandering, represented by Baudelaire has been flawlessly connected to the name of ‘Saengmyungpa’. However, the discussion of ‘Saengmyungpa’ seemed to fix ‘Shiinburak(詩人部落)’ as a trend in a specific time in the history of poetry. This article has a perspective that Seo Jung-ju’s Vitality is an important word to understand eternity, a critical concept in his poetics.
    Seo Jung-ju's Vitality seems to be affected by the Japanese ‘Taisho Life-ism(大正生命主義)’. It was possible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Kim Dongri as well as his ability as an intellectual who could read Japanese books. However, while Kim Dongri's ‘vitality’ was a concept that the East against the Western modernity was extended to religious level, Seo Jeong-ju set a ‘poet’, aesthetical agent in its center. The space of Jilmaje created by Seo Jung-ju was not limited in the actual hometown but can be considered as an aesthetic location to reveal the poet's ‘inside’.
    Therefore, the signal of ‘Shiinburak’ explained as the concept of life by Seo Jeong-ju, points out the discovery of modern ‘person’, rising suddenly in the ‘Taisho democracy era’. The inside of the poet explained as ‘Pachok’, ‘Flower Shadow’, and ‘Shiinburak’, is extended with its concept through ‘Jilmajae’. However, ‘Jilmajae’ was a moment to limit extension of poem, separating ‘poetry’ and ‘life’. The separation of ‘poem’ and ‘life’ was a sense from priority of ‘life’ from Seo Jeong-ju's own experiences in Manchuria. Korea in the 1960's and the 1970’s was in the era to follow exactly problems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led by the government of the Country of Manchuria. In the ‘Jilmajae’ Narrative in the 1970's, an aesthetic space where communities co-exist in peace was a structure to hide extortion against each person. His aesthetic space losing black images was where power of pathos by despair disappe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