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 디자인 표현 연구 (A Study on Emotional Design Expression at Expo Pavil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6 최종저작일 2016.09
12P 미리보기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 디자인 표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2권 / 3호 / 587 ~ 598페이지
    · 저자명 : 최은신

    초록

    엑스포는 시대적 패러다임을 빠르게 반영하며 그전시체계도 진화하여 왔다. 미래의 발전상을 다루어왔던 창조의 장으로써의 엑스포는 21세기 들어 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대안을 공유하는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엑스포 파빌리온이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볼 때, 시대적 패러다임을반영하는 엑스포 파빌리온에 대한 디자인 접근방법으로써 감성디자인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감성디자인의 표현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파악하는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통해 감성디자인의 의미를 파악하고,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디자인 접근의 필요성을 밝힌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감성디자인 표현특성을 도출하고, 파빌리온 디자인 계획 요소와 연관하여 분석의 기준을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사례분석의 결과를 종합한다. 연구의 범위는 2010년 상하이 엑스포와 2015년 밀라노 엑스포의 국가관으로 한정한다.
    공간에서 감성디자인 특성과 파빌리온 디자인 계획요소와의 연계를 통한 감성디자인 표현의 분석 기준은다음과 같다. 디자인 개념을 표현하는 상징성, 공간 프로그램에서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지원성, 공간 구성을 통해 관람객의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는장면성과 연속성이다. 감성디자인 표현 사례의 분석결과, 파빌리온의 조형성을 표현하는 상징성은 형태의오브제화, 이미지의 형상화로 나타나며, 공간 프로그램을 통한 지원성은 참여를 통한 경험의 강화, 다중적의미 생성으로 나타나고, 공간구성을 통한 장면성과연속성은 비일상적 장면 구성, 비결정적 시퀀스 구성으로 나타난다. 감성디자인의 표현은 관람객의 감성을자극하여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풍부한 체험과 그 가치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디자인 표현의 의미는 감성의 자극을 통해 엑스포의 주제에 대한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관람객의 정서적만족감을 갖게 됨과 동시에 세계가 다루는 공통의 문제들에 대한 대안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은 현 시대가 지향하는 엑스포 패러다임에부응하며, 엑스포의 문화적 가치가 만들어가는 디자인접근 방법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Expo has reflected the contemporary paradigms in a timely manner. As a result, Expo's exhibition system has evolved accordingly. As the realm of creation that has dealt with the future developments, Expo has been evolving into the realm in which the alternatives to various problems the world is facing in the 21st century are sh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significance emotional design has as a design approach method in relation to the Expo pavilion reflecting the contemporary paradigms if Expo favilion is deemed as an important tool to create communications with spectators. Moreov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are represented.
    In regard to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emotional design is to b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he need for an emotional design approach is to be reveal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precedent studies are to b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dedu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expression and also presenting the analysis criteria in relation to the elements of pavilion design plan. Lastly,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are to be examined and summarize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pavilions at Expo Shanghai 2010 and Expo Milano 2015.
    Following are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on the basis of the linkage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and the elements of pavilion design plan: symbolism for expressing design concepts, support for inducing interactions with spectators in a spatial program and scene and continuity for inducing diverse experience of spectators through spatial configu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ases of emotional design expression, symbolism expressing the formativeness of pavilion was represented as an objet of a form and also as a shape of an image, whereas support through spatial program was represented as reinforcement of experience through participation and generation of multiple meanings. Lastly, scene and continuity through spatial configuration were represented as configuration of non-routine scenes and non-deterministic sequences.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creates diverse communications by stimulating the emotion of spectators. In doing so, they can create a wealth of experiences along with the values thereof.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expressions of emotional design at Expo pavilion is as follows.
    Spectators can have emotional satisfaction by understanding diverse meanings and values in relation to the themes of Expo through stimulation of emotions.
    At the same time, it becomes possible to share the alternatives to the common problems, with which the whole world is dealing. On that account, emotional design can be said to fulfill the Expo paradigm of the present day. More importantly, it can be regarded as a design approach method to create the cultural values of Exp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