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식수준의 다양성과 네트워크 구조가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분석 연구: 에이전트기반 모델링 기법을 중심으로 (Longitudinal Analysis Results from Investigating Team Creativity Patterns Based on Knowledge Diversity and Network Structures: Agent-Based Modeling Approach)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0.12
19P 미리보기
지식수준의 다양성과 네트워크 구조가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분석 연구: 에이전트기반 모델링 기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9권 / 6호 / 1539 ~ 1557페이지
    · 저자명 : 이건창, 최도영, 서영욱

    초록

    조직의 성과향상 및 혁신의 원천으로서 팀 창의성의 향상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팀 창의성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팀 창의성의 영향요인 중 팀 구성원의 지식수준의 다양성과 네트워크 구조 - 연결정도 중심성과 구조적 공백 - 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팀 창의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에이전트기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 지식수준의 다양성 및 네트워크 구조 모두 팀 창의성에 중요한 영향을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네트워크의 구조에 따라 상이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장기적 관점에서는 팀의 네트워크 구조가 개인의 지식수준의 다양성 보다 팀 창의성의 수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Creativity management has remained one of hot issues in the realm of management studies.
    However, previous studies about creativity were divided into several kinds of approaches such as personal traits, network approach, etc. Creativity can be described as an individual creativity,team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 Since individuals are working under a team,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is a result of team creativity, team creativity has been at the center of debates regarding how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Though many approaches were proposed to tackle the team creativity research issues, this study adopts a network structure approach which assumes that the network structure formulated by interrelationships among team members decide individuals’ position in the complicated network, and their performance due to varying quality of information flow and information diversity. Typical examples of network structure under consideration in this study are degree centrality and structural hole. Research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hypotheses saying that (1) diversity of individual knowledge will be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m creativity, (2) degree centrality implying how much individuals take central position at the network will affect team creativity positively, and (3) structural hole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eam creativity. Structural holes in social structure are buffers like an insulator in an electric circuit. The structural hole between two groups does not mean that people in the groups are unaware of one another. It only means that the people are focused on their own activities such that they do not attend to the activities of people in the other group. In other words, structural holes are an opportunity to broker the flow of information between people,and control the projects that bring together people from opposite sides of the hole.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hypotheses, we adopted ABM (agent-based modeling)simulation rather than questionnaire survey method because we want to investigate the long-term patterns of team creativity in response to individual knowledge (diversity), degree centrality, and structural hole. For the sake of ABM experiments, Netlogo language was used to build up a prototype named ABCS (Agent-Based Creativity Simulator). Simulation results from ABCS revealed that team creativity shows an inverted-U pattern as time dimension is expanded in the long run. Especially, in the long run view, network structures such as degree centrality and structural hole have more impact on team creativity than individual knowledge it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