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공심화과정의 영유아 학급운영관리 과목에서 팀 기반학습(Team based-learning)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Project for the Application of Team-based Learning in Infant-Toddler Class Operation Management as Part of an Intensive Major Cours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7.08
39P 미리보기
전공심화과정의 영유아 학급운영관리 과목에서 팀 기반학습(Team based-learning)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유아교육연구 / 37권 / 4호 / 207 ~ 245페이지
    · 저자명 : 곽영숙

    초록

    본 연구는 몇 년째 강의해오던 영유아 학급운영관리 과목에서 적용했던 교수학습방법이 학습자에게 스스로 참여하고 의사결정을 할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고자 한 실행연구이다.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순환과정의 실행연구를 통해 팀 기반학습 적용의 실행과정과 팀 기반학습 적용의 실행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emmis와 McTaggart(2005)가 제시한 순환적인 실행연구 과정에 따라 총 5회차의 실행이 이루어졌으며, 실행 중 적용된 팀 기반학습은 ‘사전계획단계, 선행학습단계, 준비도 확인단계, 개념적용 문제해결단계’의 절차를 거쳤다. 5차 실행을 거칠 때마다 구체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실행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하고, 평가와 반성을 기초로 다시 계획을 수정하고는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며 연구를 진행해 나가고자 하였다. 팀 기반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자료는 ‘팀 기반학습에서 나의 역할 돌아보기, 실제 현장의 적용 가능에 대한 기대감, 팀 학습에 대한 매력 느끼기, 팀 학습이 학습과 성장에 기여하는 것들을 체감하기’로 분석되었다. 팀 기반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팀 만족도와 팀 효능감’의 사전-사후 조사를 통해 팀 만족도와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ction research project examines the application of a team-based learning system in response to the problem that the historic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in infant-toddler class operation management does not give learner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or to make decisions for themselve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team-based learning processes and practices affect learn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plans and practices, as well as cyclical action research for evaluation.
    This study conducted practices on five occasions according to the cyclical action research model proposed by Kemmis and McTaggart(2005). The team-based learning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ages: ‘preplanning stage, prerequisite learning stage, readiness assurance stage, and conceptual application with problem resolution stage.’ By conducting the practices five times, this study intended to repeat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on an ongoing basis, identification of specific issue and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pla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the procedure, and, modification of the plan based on the evaluation.
    The qualitative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ers is analyzed as ‘searching for the individual’s role in team-based learning systems, recognizing applicable expectations in real education field, being drawn to team learning, and experiencing how team learning affects learning and growth’. It was verified through the pre-to-post investigation of “team satisfaction and team efficacy” that these two area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eam-based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아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