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 교양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팀기반 학습 경험 (Learner-centered, team-based learning experience in college liberal arts classe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4.05
22P 미리보기
대학 교양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팀기반 학습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4권 / 9호 / 287 ~ 308페이지
    · 저자명 : 문희정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팀기반 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학습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탐색하여 팀기반 학습에서의 학습자의 경험을 질적접 근을 통해 맥락적인 상황에서 살펴보고, 교육적인 성찰과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교양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9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교육학 기반의 교양’ 교과목으로 선정하여 팀기반 학습을 설계하였다. 둘째, 선택된 교과목에서 다루어지는 내용분석을 한 후에 사전학습을 전반부의 차시별 학습에서 교수자의 학습주제에 대한 내용 강의가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학생들은 학습주제에 대해 강 의를 통한 개별학습을 한 후에 학습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학습자료를 시청한 후 학습내용과 관련한 팀기반학습을 적용하였다. 셋째, 학습자가 학습 전과 학습 후에 작성된 개인 활동지, 팀 활동지, 차시별 학습노트, 성찰일지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응답지는모두 수업을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로써, 자료의 범주화, 코딩, 구조화, 해석의 상호작용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의 학습동기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첫째, 수강동기는 교양과목의 특성상 의무, 우연적 선택, 비명확한 기대에 의한 참여, 둘째, 학습의 주제 및 내용은 자신의 실생활 유용성, 진로 관련 주제를 선호, 셋째, 학습 참여를 통해 습득한 인지적 정보들 을 삶의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적용 넷째, 학습목표 설정은 외적동기를 내재적 동기로 전환하기 위한 교육적으로 중요한 정보와 맥락을 보여준다. 인지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수강 동기, 개인 학습 목표, 학습자 요구에서 인지적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호 작용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팀 기반 학습 참여과정에서 첫째, 팀원 간의 소통, 참여도, 예의를 포함한 참여자의 태도를 가장 중요시하였고, 둘째, 긍정적 경험, 정서적 지지 등을 의미 있게 경험하였다. 교수-학습 측면에서 팀 긴반 학습 참여를 통해 자기표현, 토론 및 발표, 주도성, 발표 불안의 극복 등 긍정적인 경험을 인식하였다. 반면에 부정적 측면은 팀원 간이 긍정적 상호작용에 방해 요인으 로 작용할 수 있었다. 특히 학습 초기 이러한 장애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명확한 동기유발, 학습목표 설정,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에 맞는 학습내용의 설정, 교수자의 정서적 지지, 효과적 학습보조 자료, 평가계획 등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이 중심이 되는 팀기반의 수업에서 학습과정의 특성상 상호역동적인 소통과 자발적이고주도적인 참여가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느낄 수 있는 불안과 불만족의 개선을 위한 적극적이고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과 다양성을 학습초기에 상호 인식하고 수용하며, 팀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 지지 및 배려와 같은 팀기반 학습의 강점이 잘 발휘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참여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잘 충족되고 강점이 잘 발휘될 수 있는 교수자의 사려 깊은 인지적, 정의적 교수-학습 역량이 요구되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s the experiences that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eam-based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learning process, examines the learners' experiences in team-based learning in a contextual setting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and seeks educational reflection and implica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94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iberal arts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eam-based learning was designed by selecting a ‘pedagogy-based liberal arts’ subject. Second, after analyzing the content covered in the selected subject, the instructor's lecture on the learning topic was conducted in advance in the first half of each lesson, and students studied individually through lectures on the learning topic. After watching various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the learning topic, team-based learning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 was applied. Third, we analyzed individual and team activity sheets, study notes for each session, and reflection logs written by learners before and after learning. The response sheets used in the analysis were all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classes, and were analyz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categorization, coding, structuring, and interpretation during the data analysis process.
    Results In terms of learning motiva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motivation for taking the course was participation due to obligation, accidental choice, and unclear expectations due to the nature of liberal arts subjects, and second, the topic and content of learning were based on their own real-life usefulness and career-related topics.
    Third, actively apply the cognitiv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participation in learning to solve life problems. Fourth, setting learning goals shows educationally important information and context for converting extrinsic motivation into intrinsic motivation. In terms of cognition, learners showed the highest cognitive factors in motivation to take the course, personal learning goals, and learner needs. In terms of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eam-based learning, learners placed first, the attitude of participants, including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courtesy among team members, as the most important, and second, they meaningfully experienced positive experiences and emotional support.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positive experiences such as self-expressio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initiative, and overcoming presentation anxiety were recognized through participation in team learning. On the other hand, negative aspects could act as a hindrance to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eam members. In particular, to overcome these obstacles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multifaceted efforts were needed, such as clear motivation, setting learning goals, setting learning content that suits the learner's needs and interests, emotional support from the instructor, effective learning support materials, and evaluation plan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due to the nature of the learning process in team-based classes where learners' interaction is the center, more active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voluntary and proactive participation are required than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To achieve this, active and flexible responses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anxiety and dissatisfaction that learners may feel.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individual learners can be mutually recognized and accepted at the beginning of learning, the strengths of team-based learning of emotional support and consideration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eam members can be effectively demonstrated, and learners' expectations and demands for participation in learning can be improved. It can be seen that the instructor's thoughtful cognitive and affective teaching-learning capabilities are required so that the teacher's strengths can be well met and the strengths can be put 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