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 토대주의 신학에서의 합리성: 호이스틴과 슐츠를 중심으로 (The Rationality in the Post-foundationalistic Theolog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06.06
29P 미리보기
포스트 토대주의 신학에서의 합리성: 호이스틴과 슐츠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16호 / 101 ~ 129페이지
    · 저자명 : 윤철호

    초록

    포스트 토대주의적인 신학의 합리성 모델에 관한 논의를 시작함에
    있어서, 먼저 두 가지 논의의 차원인 인식론과 해석학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문제의 인식론적 측면은 토대주의자들의 관심의 초점인데, 이들은
    지식 자체의 개념이 논의에서 위태롭게 되는 것을 두려워 한다. 인식론
    과 해석학의 관계를 개념화함에 있어서, 이들은 인식론에 특권적 위치
    를 부여하며 최근의 해석학의 발전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비
    토대주의자들은 주제의 해석학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이론 정당화에
    대한 근대적 접근이 유지될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한다. 논의의 해석학적
    차원은 어떻게 우리가 우리의 해석(또는 믿음)을 합리적인 것으로 정당
    화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비토대주의에 따르면, 우리는 우리의 믿음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그 믿음의‘배후’또는‘밑’으로 들어갈 수 없다. 우
    리가 가진 유일한 기준은 그 믿음이 문화적으로 조건지워진 우리의 그
    물망 안에서 다른 믿음들과 얼마나 정합성(coherence)을 갖는가 하는
    것이다. 호이스틴과 슐츠의 포스트 토대주의 모델에 있어서 주목할 만
    한 특징의 하나는 인식론과 해석학을 상호적인 관계적 통일성 안에서
    연결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rgument about the apologetic task of theology in
    the post-modern era of this 21th century. In these days, the apologetic
    task of theology not only in its relation to philosophy but also to other
    sciences including human, social, and natural science becomes the
    important issue of theological discussion. Especially, the concern on
    the differences, complementarities, and consonanc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ology and natural science provides motives for the
    concept of post-foundationalism, which is the main thrust of this
    paper.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of the epistemological and
    hermeneutical discourse in the post-modern era, however, is tha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tionality of theology itself. In this connection,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concept of post-f o u n d a t i o nalism:
    post-foundationalistic theology represents the ideal model of
    rationality which criticizes both the modern epistemological model of
    theological rationality(foundationalism) and the negative side of the
    p o s t-modern hermeneutical model(non-foundationalism), and
    sublates them synthetically.
    P o s t-foundationalism attempts to develop a model for the
    rationality of theology as ‘via media’ between foundationalistic
    dogmatism and non-foundationalistic relativism. That is, postfoundationalistic
    model of theological rationality seeks the possibilities
    for the ‘middle way’ in order to overcome the dilemmas
    between absolute foundation of truth and relativity of truth, between
    universal reason of the individual and proper forms of rationality in
    each community, between explanation in the universal dimension and
    understanding in the particular context. This paper performs the
    inquiry about the problem of theological rationality focused of the
    theological model of post-foundationalism with reference to two
    contemporary theologian, that is, J. Wentzel van Huyssteen and F.
    LeRon Shults.
    Against foundationalistic objectivism and non-f o u n d a t i o n a l i s t
    relativism, according to van Huyssteen, post-foundationalistic theology,
    on the one hand. fully recognizes contextuality, the important
    epistemological role of interpreted experience, and the way in which
    traditions form the epistemological and non-epistemological values
    and, on the other hand, tries to proceed toward the inter-disciplinary
    dialogue beyond the limit of local community, group, and culture.
    P o s t-foundationalists accept the challenges of post-modernity, but
    they do not give up the idea of truth, advance, and reasion but try to
    refigure it. In this sense, post-foundationalism is not deconstructive
    but reconstructive. In other words, post-foundationalists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not in terms of
    antagonistic polarity or alternative option but in terms of dialects.
    They accept the post-modernism which exams the presuppositions of
    Enlightenment and modern foundationalism thoroughly, but they
    reject the non-foundationalistic relativism which is one stream of
    post-moder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