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로그래매틱 광고에 대한 국내 광고주 및 대행사의 인식과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ive Study on Clients and Advertising Practitioners’ Perspectives on An Explorative Study on Clients and Advertising Practitioners’ Perspectives on Programmatic Advertising and Its Obstacl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9.05
27P 미리보기
프로그래매틱 광고에 대한 국내 광고주 및 대행사의 인식과 장애요인에 대한 탐색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광고PR실학회
    · 수록지 정보 : 광고PR실학연구 / 12권 / 2호 / 32 ~ 58페이지
    · 저자명 : 서헌주, 엄남현

    초록

    프로그래매틱 광고는 2020년까지 미국 디스플레이 광고의 80% 이상을 점유할 것으로전망된다. 그러나 국내의 상황은 아직도 5%에도 이르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프로그래매틱 광고 도입이 지연되고 있는 이유를 분석하기 위해 광고주와광고대행사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에 의한 탐색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응답자의 다수는 프로그래매틱 광고가 장기적으로는 국내 시장에서 성장할 것으로 보면서도, 단기적으로는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같은 인식의 출발은 프로그래매틱 광고가 오디언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타기팅을 통해 광고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측면만이 지나치게 부각되고, 소비자의 인사이트 발굴 개선 등의 장점은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결국, 국내에서는 강한 개인정보규제와 기업의보수적 데이터 자산 관리로 인해 활용 가능한 데이터 리소스가 부족하다는 외적 요인만을 원인으로 보게 됨으로써 퍼포먼스 광고로 잘못 인식되는 경향이 존재하였고, 그것은부정적 인식과도 연결되기 시작했다. 이 외에도 우수한 국내 성공사례의 부재, 대형 소셜미디어 서비스와 포털사에 대한 광고비 배분 집중, 집행 경험자의 경우에도 효율성의 부침이 존재하고 그로 인한 책임 소재 문제 등도 중요한 수용도를 낮추는 데 영향을 주고 있었다. 글로벌 시장에서 프로그래매틱 광고와 관련, 브랜드 안전(brand safety) 및 투명성(transparency) 강화가 중요한 이슈로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실시간으로 마케팅 캠페인 조정이 가능하고, 타기팅된 오디언스에게만 노출되는 방식상의 강점으로 인식되는 것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결국 개인정보 규제의 보수성이라는 제도적 요인 이외에도 효율성 중심으로 편중된 인식이 어려운 국내 프로그래매틱 광고의 확산과 수용을 더욱 더디게 하고 있는 주요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층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프로그래매틱 광고에 대한 수용도와 그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체화하였고, 덧붙여 탐색연구로서 가지는 한계성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Programmatic advertising enables advertisers to market their brand in real-time; it helps marketersdeliver online ads to a targeted audience. By 2020, more than 80 percent of online display ads in theU.S. will consist of programmatic advertising. In Korea, however, programmatic advertising accountsfor less than 5 percent of online display ad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advertising clients and practitioners, the authors of this study examine why these two groups arereluctant to adopt programmatic advertising for Korea’s domestic market. Most respondentsreportedly expected to see programmatic advertising grow in the long run, but thought in the short runit would face growth stagnation. This perspective is based on the fact that people put too muchemphasi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through data-based audience targeting. But another positive sideof programmatic advertising, which would help marketers gain insight into consumers did not receivedue attention. The growth of programmatic advertising may be negatively impacted by the followingexternal factors: 1) insufficiency of data resource due to stric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companies’ conservative data equity management, 2) a lack of successful programmatic advertisingcases, and 3) heavy advertising expenditures on popular SNSs and large portal sites. People whoactually experienced programmatic advertising pointed out that the effectiveness of programmaticadvertising is not consistent and the responsibility issue does exist. In terms of programmaticadvertising in the global market, participants saw one important issue being the how to strengthen brand safety and improve brand transparency. This point of view differs from the traditionalperspective on programmatic advertising.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main factors deterring thegrowth and expansion of programmatic advertising are government policy on personal informationprotection and too great of a focus on how effective it is.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of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