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일본의 통치라는 신체성: 메이지 헌법의 구성과 바디폴리틱(Body Politic) (Body Politic and Governmentality in Modern Japan: Constructing Meiji Constitution and Metaphor of Bod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7.03
31P 미리보기
근대 일본의 통치라는 신체성: 메이지 헌법의 구성과 바디폴리틱(Body Politic)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6권 / 1호 / 255 ~ 285페이지
    · 저자명 : 김태진

    초록

    이 논문은 근대 국가를 상상, 재현, 구상하는데 메이지 헌법, 군인칙유, 교육칙어에서 나타나는 국가-신체 은유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근대 서구의 국가론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것이 전통적 논의 속에서 어떻게 굴절되는지를 신체정치의 측면에서 보고자 한다. [헌법의해]라는 텍스트는 이토 히로부미의 명을 받아 이노우에 코와시가 작성한 헌법에 대한 주석으로, 여러 바디폴리틱적 요소들이 표현되고 있다. 가령 한 나라의 토지를 일개인의 신체와 같다고 표현하며 근대적 경계를 확정하려는 태도나, 천황을 머리로 비유하며 사람의 몸에 사지가 있지만 정신의 경락이 머리로 돌아가는 것과 같다는 논리로 주권의 유일함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천황과 인민의 관계를 나타내는 신체적 사유는 군인칙유와 교육칙어를 통해서도 확장된다.
    하지만 서구의 국가유기체설이 군주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국가 그 자체를 인격화하기 위한 것임을 감안하면 이들 텍스트에서 보이는 바디폴리틱에 대한 논의들은 전근대적 사유의 연속처럼 보인다. 그러나 명령으로 인한 복종의 신체성이 강조되는 동시에, 사적 지배의 논리를 거부하는 근대적 통치 개념 역시 도입하고 있다. 메이지 헌법 1조의 ‘통치’라는 개념에 대한 설명에서 보듯이 이는 근대적 통치 개념과 전통적인 다스림의 개념을 교묘하게 섞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자면 머리가 사지를 다스린다고 할 때 이는 단순히 명령-복종의 지배관계에만 놓인 것이 아니라, 다스림의 전통적인 신체적 의미와 이어진다. 이는 서양의 유기체설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라던가, 중세적 유기체설을 받아들인 것이라기보다 서로 다른 신체관 혹은 세계관을 가진 장소에서 근대와 전통 사상이 접합되면서 생기는 굴절의 양상의 측면을 보이는 것이다.

    영어초록

    In previous studies,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no theory of state in Eastern political thought. On the other hand, it is said that the logic of the West was transplanted into modern East Asia to constitute the nation state without any transformation. However, this paper examines state-body metaphor that appears in Meiji Constitution,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nd Imperial Rescript to Soldiers and Sailors to show how they imagined, represented, and constituted the state and the governmentality. By doing so, I want to show how 19th Western organicism was translated modern Japan to make ‘nation state’.
    The text ‘Kenpogige’(Commentaries on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 is written by Inoue Kowashi under Ito Hirobumi’s direction and commented on each article of the Meiji Constitution. It shows the sole principle of sovereignty, which expresses that the land of a country is the same as the individual's body to confirm the modern boundary. And modern governmentality was shown in the metaphor that the emperor is the head and people are the limb of human body. This kind of metaphor also extends through ‘Kyouikuchokugo’(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and ‘Gunjinchokuyu’(Imperial Rescript to Soldiers and Sailors). This shows that the concept of body politic as a command system becomes clearer.
    This seems to be a continuation of the premodern thought, given that the Western state organism theory is not to emphasize the role of the monarch but to personify the state itself. However, it can not be confined to the logic that emphasizes the transcendence of the emperor. This can be seen from the concept of ‘Sirasu’(to govern/to know)’ of Article 1 of the Meiji Constitution. ‘Sirasu’ meant knowing the object with the mind in the sense that it was not the domination of power or power but the domination of the mind through the virtue of the monarch. It was a combination of modern ruling concepts and traditional ruling concepts. In that sense, this was not an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organism theory, but rather a reflection of the notion of body that occurs when modern and traditional ideas are joined in places with different notion of b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