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계 입양문학에 나타난 뿌리와 기원의 탐색 연구: 케이티 로빈슨의 『사진 한 장:한국 입양아의 뿌리 탐색』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Search for the Roots in Transnational Adoptees:Kate Robinson’s A Single Square Pictu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09.12
30P 미리보기
한국계 입양문학에 나타난 뿌리와 기원의 탐색 연구: 케이티 로빈슨의 『사진 한 장:한국 입양아의 뿌리 탐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17권 / 75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목소리를 내고 있는 한국계 입양문학에 나타난 뿌리와 기원의 탐색의 의미를 케이티 로빈슨의 자전적 작품, 『사진 한 장』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입양아들의 뿌리 찾기 여행은 60년대 말 이래 미국 내 소수민족집단이 전개한 민족적 뿌리 찾기 운동의 영향, 비밀입양정책에 대해 반기를 들고 생물학적 부모찾기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한 70, 80년대 입양활동가들의 운동, 그리고 90년대 이후 세계화시대에 입양아들이 서구와 모국을 연결하는 문화적 가교가 되기를 기대하는 모국의 열망이 서로 맞물려 90년대 이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상이다.
    ‘한국 입양아의 뿌리 탐색’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케이티 로빈슨의 『사진 한 장』은 70년대 후반 미국 백인 중산층 가정에 입양되어 백인 문화와 가치에 동화되어 살다가 뿌리와 기원을 찾아 한국으로 왔다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작품에 나타난 뿌리 찾기 여행은 두 개의 국가/문화/가족과 교섭해야 하는 초국가적 입양아의 복잡한 정체성의 위치를 잘 드러내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드러내어 준다. 첫째, 뿌리 찾기 여행의 주제는 초국가적 입양아가 미국 사회와 가족 속에서 느끼는 심리적 곤경을 드러냄으로써, 뿌리와 기원으로부터의 완전한 단절을 전제로 하는 동화의 삶이 가지는 억압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둘째, 뿌리로부터의 단절이 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뿌리와 기원에 대한 환상을 낳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작품 속에서 로빈슨이 뿌리 찾기 여행을 통해 존재의 완성, 정체성의 통합을 기대하는 것을 통해 나타난다. 셋째, 뿌리 찾기 여행은 언어, 문화, 잃어버린 시간의 장벽으로 인해, 모국 역시 완전한 소속이 불가능한 장소임을 드러낸다. 특히 이 작품 속에서 로빈슨은 ‘아비부재’ ‘남편부재’의 삶을 사는 사람들이 가부장적인 한국 사회에서 얼마나 고통스러운 주변부적 삶을 살고 있는지를 드러내고 자신의 입양 사건 역시 가부장적인 한국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 속에서 나온 것임을 이해한다. 그러므로 로빈슨은 자신의 입양을 ‘버림받은 사건’으로 바라보지 않고,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는 사랑의 행위’로 재구성한다. 넷째, 모국에서의 경험은 정체성의 통합이 잃어버린 과거, 친가족의 회복을 통해 가능한 어떤 것이 아니라, 현재와 과거, 입양국가와 모국의 관계 속에서 형성해나가야 하는 어떤 것임을 드러낸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meaning of transnational adoptees' search stories of their roots through Kate Robinson's autobiographical book, A Single Square Picture(2002). Adoptees' journey for their birth family and birth country was promoted under the influences of minority groups' movement in the late 1960s of the US which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ethnic roots as a source of identity, adoption activists' search movement for adoptees' biological kin in 1970s and 80s, and Korean government's attempt to embrace transnational adoptees who are supposed to be a kind of cultural bridge between the westerns and Korea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Robinson's search story for her roots which reflects the complicated subject position of transnational adoptees between two families and two countries, this study found these meanings; Firstly, her search story shows transnational adoptees' inner suffering such as the feeling of rootlessness, incompleteness, and being trapped between two cultures under the pressure of assimilation which presupposes the complete separation from birth family and birth country. Secondly, her search story demonstrates the separation from her roots also creates the fantasy for her roots which suggests that the reunion with her roots can bring the wholeness and integrity of identity. Thirdly, her search story shows that transnational adoptees' biological family and homeland cannot be the place to which they wholly belong because of the barriers of language, culture and lost time. In the experience of Korean society and family, Robinson especially came to realize how Korean patriarchal social and familial structure marginalizes and excludes those women who gave birth their babies outside marriage or who were abandoned by their husbands. In this context, Robinson could understand her birth mother's decision of sending her to the US was not an act of abandoning but an act of love, which intends to give a better chance to Robinson, an illegitimate child. Finally, through her search, Robinson suggests that the wholeness of identity cannot be achieved by restoring lost mother and lost past. Rather it implies that identity is the kind of thing which is being shaped through the negotia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between birth family and adoption family, and between birth country and adoption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