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우티프론』의 도덕교육적 의의 (Socrates' Euthyphro: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s and Moral educati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5.12
22P 미리보기
『에우티프론』의 도덕교육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37권 / 4호 / 51 ~ 72페이지
    · 저자명 : 장지원

    초록

    플라톤의 초기 저작 『에우티프론』은 ‘경건’을 주제로 소크라테스가 논박, 발문, 전형 제시를 통해 에우티프론의 도덕적 판단과 행위의 변화를 도모하는 점에서 도덕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화편이다. 아테네의 법정 앞에서 만난 두 사람은 에우티프론 부친의 기소를 놓고 논박을 시작한다. 에우티프론은 부친이 노예를 살해하는 불경을 저질렀으므로 기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소크라테스는 에우티프론의 도덕적 판단 기준인 경건(hosion)에 대해 질문한다. 에우티프론은 경건에 대한 개별적 사례를 제시하였지만 소크라테스를 설득하는 데는 실패했다. 당초 부친을 기소하려 할 때 보여줬던 도덕적 우월감과는 달리 실의에 빠진 에우티프론에게 소크라테스는 발문을 던지고 구체적인 힌트를 제시하면서 그의 변화를 도모한다. 에우티프론과 소크라테스의 대화는 독자들에게 도덕적 판단과 행위에 대한 반성과 변화를 촉구한다는 점에서 의의 있다. 에우티프론의 도덕적 판단은 일견 참신했으나 실제로는 관습적인 의인신관에 의존했을 뿐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변화를 위한 전형(paradeigma)인 ‘경건’의 형상을 지니지 못했다. 에우티프론의 전형 부재는 그가 ‘경건’과 ‘불경’에 대한 형이상학적 실재와 이에 대한 인식 및 실제 현실 속에서 ‘경건’과 관련된 구체적인 윤리적 준거가 미비했음을 시사한다. 소크라테스는 ‘신을 섬기는 것’이란 정의를 제안하며 좌절한 에우티프론의 공동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했고 도덕적 판단과 행위의 기준의 전형을 제시하면서 에우티프론의 각성을 촉구한다. 이러한 소크라테스의 노력에서 이데아와 적도 개념의 원형을 확인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데아와 적도 개념은 플라톤의 후기 철학 및 교육론의 정초를 이루는 것으로 간주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비록 소크라테스의 시도는 성공적이지 못했지만 『에우티프론』에서 묘사된 그의 고민과 모색은 오늘날 도덕교육에도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approach Euthyphro, Plato's early dialogue,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s and moral education. This dialogue takes up the controversary between Socrates and Euthyphro on the concept of piety(hosion). In ancient Greece, religion was more closely related to morality when compared with modern society. Their dialogue discusses not only the meaning of piety but also the morality which is the most divine activity.
    After meeting Euthyphro in front of the court, their dialogue began. Euthyphro was going to court to sue his father which was the unthinkable event in that family-based society. He judged his father with the killing of a person which was an impious act for the Gods. However his opinion did not contained enough proof and he only depended on the customary theology. Socrates showed the inadequacy of his depencence on the gods and proposed much more in depth elenchos. .
    Their controversy, which began with the misunderstanding of the murder, eventually moved to the real meaning of piety. Socrates continued to queston Euthyphro on the perfect concept of piety and provoked limited answers from him. Euthyphro wanted to give up on discovering the idea(eidos) of piety, but Socrates encouraged him not to quit and proposed another argument for their dialogue, different from the other dialogues of Plato.
    Even though their approach for finding eidos of piety was unsuccessful, Socrates' effort was a philosopher's model for finding a suitable living style which is the main theme for ethics and moral education. Euthyphro would be a work related to ethics of virtue and show the role of moral tea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