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학 연구의 보편적 분석틀 정립과 교육재정경제학 분야에의 적용가능성 탐색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a Universal Framework in the Field of Educational Research)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8.09
32P 미리보기
교육학 연구의 보편적 분석틀 정립과 교육재정경제학 분야에의 적용가능성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 27권 / 3호 / 99 ~ 130페이지
    · 저자명 : 신하연, 양은택, 엄문영

    초록

    본 연구는 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연구동향 분석 연구의 보편적 분석틀을 정립하고, 교육재정경제학 분야의 연구동향에 적용하여 보편적 분석틀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기존의 연구동향 분석은 연구자의 관심이나 학문의 특수성, 선행연구의 방법, 분석 대상 논문 등에 따라 각각 상이한 분석 기준을 사용하여 연구동향 분석 연구의 일관된 체계를 파악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립된 분석틀을 활용하여 교육재정경제학회의 학문적 흐름을 일관된 분석대상을 통해 고찰하기 위해 「교육재정경제연구」창간호부터 2017년 제26권 제4호까지에 게재된 논문 총 612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목적 측면에서는 실태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모형소개·개발·적용에 관한 연구(107건, 17.5%), 이론소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32편, 5.2%) 순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국내 연구는 555건(90.6%), 국외 및 국내·외 비교 연구는 57건(9.4%)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에서는 재정연구가 329건(53.7%)으로 경제연구 226건(36.9%)보다 103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문헌연구방법이 285건(46.5%)으로 가장 많고, 양적연구(고급통계)가 138건(22.5%) 순이었다. 연구 대상별로는 2000년대 이후의 영·유치원에 관한 연구가 1990년대에 비해 소폭 상승하긴 하였으나, 여전히 가장 적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교육학 분야의 보편적 분석틀의 정립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간학문적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학 내 분과학문간 연구동향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하나의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보편적 분석틀 활용에 따라 연구자별로 다양한 의미로 혼란스럽게 활용되고 있는 ‘영역’, ‘내용’, ‘주제’ 등의 용어 사용 기준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universal framework for analyzing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apply it to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finance and economics in order to utilize the universal analytical framework. The existing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volves finding a consistent system of research trend analysis, using different analysis criteria depending on the interest of researchers, the special nature of studies, methods of prior studies, and the thesis under analysis. In this study, the total academic trends of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used for analytical units.
    As th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on condi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methods was conducted the most, and the study on model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107 cases, 17.5%), and theoretical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32 cases, 5.2%, Analysis by subject showed that there were 555 domestic studies (90.6%) and 57 domestic and overseas comparative studies (9.4%). A domestic study found that there were 329 financial researchers (53.7%), 103 more than economic research 226 (36.9%).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methods, literature was studied the most with 285 cases (46.5%), followed by quantitative research with 138 cases (22.5%). By subjects of study,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increased slightly from the 1990s, they were still treated with the lowest percentage. These findings show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universal analytical framework in the field of education. Further, the standard usage of the term 'areas', 'content', 'topics', and other criteria, which have different meanings, is provided by the analysis fra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재정경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