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북협력체제의 법적 틀과 지향점에 대한 헌법적 탐구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Legal Frame of South-North Cooperation System and its Orientat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8.12
25P 미리보기
남북협력체제의 법적 틀과 지향점에 대한 헌법적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과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사회 / 59호 / 23 ~ 47페이지
    · 저자명 : 도회근

    초록

    2018년부터 남북교류가 급진전되고 있다. 대통령은 남북관계발전법에 따라 4ㆍ27 판문점선언의 국회 비준동의를 요청하였고, 그 이행을 위한 군사합의서는 국회동의를 거치지 않고 비준하여 공포하였다. 이에 관한 법적 논쟁이 진행 중이다.
    남북교류협력체제는 헌법, 남북교류협력법제, 국가보안법, 남북기본합의서를 비롯한 각종 남북합의서 등의 법적 체계 속에서 진행된다.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북한은 우리 헌법의 영토조항과 통일조항의 해석상 국가가 아니며 평화통일을 위한 대화와 협력의 동반자이자 반국가단체라는 이중적 지위를 가진다. 한편 남북한관계는 남북기본합의서에 의하면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니고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된 특수한 관계이다. 이를 남북한 특수관계라고 하는데 이것이 현재 남북한관계를 규정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헌법해석과 개념 아래에서 남북교류협력법제가 구축되어 있고, 이 틀 속에서 남북정상회담을 비롯한 각종 남북회담과 교류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 남북한 특수관계론의 개념은 본질적으로 불확정적 개방적 개념이므로 국가와 대통령에게 그 내용을 채워 넣을 수 있는 광범위한 정책형성의 자유를 부여하고 있다.
    한편, 헌법은 국가에게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정책의 수립과 추진의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이 의무는 통일단계 뿐 아니라 통일을 위한 현재의 모든 교류협력단계에도 적용되는 의무이다. 따라서 교류협력추진과정에서 국가에게 광범위한 자유가 허용되어 있지만, 의회주의의 원칙, 권력분립의 원칙 같은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의 중요한 내용을 위반해서는 안된다.
    남북관계발전법에 따른 남북합의서에 대한 국회동의의 법적 효력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하여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판문점선언은 그 내용을 볼 때 역대 남북정상회담결과 발표된 선언들과 마찬가지로 법적 효력이 없는 정치적 선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한 국회의 동의가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영어초록

    South-North exchanges have been rapidly progressing since 2018. The President requested the ratification of the April 27th Panmunjom Decla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outh-North Relations Development Act, and ratified the Military Agreement for its implementation without passing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Legal disputes are underway.
    The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system are carried out within the legal framework of the Constitution, the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law system, the National Security Law, various South-North agreements including the South-North Basic Agreement.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Supreme Court decisions, North Korea is not a na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erritory clause and unification clause of our Constitution, but has dual status as a partner of dialogue and cooper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and anti - state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South-North relationship is not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try and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South-North Basic Agreement, but a special relationship that is provisionally formed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is is called a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South-North Koreas. Under this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nd the concept, the legal system on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various South-North talks and cooperation such as the South-North summit are under way. This concept of the special relat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inherently indefinite and open concept, which gives the state and the president the freedom to formulate a wide range of policies that can be filled in.
    On the other hand, the Constitution gives the state the duty of establishing and promoting peaceful unification policy based on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This obligation is an obligation not only to the stage of unification but also to all phases of current cooperation for unification. Thus, although broad freedom is allowed for the state in the process of promoting exchanges and cooperation, it should not violate the important contents of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such as the principle of parliamentarianism and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Regarding the legal effect of the National Assembly Agreement on the South-North Agreement under the South-North Relations Development Act, various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ltogether and judged individually. The Panmunjom Declaration seems to be a political declaration that has no legal effect, just like the declarations announced as a result of past South-North summits, even with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