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롬프트 구조와 길이에 따른 이미지 품질 인식 차이 분석 - 생성형 AI 미드저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ual Differences in Image Quality according to Prompt Structure and Length - Focusing on the Generative AI Platform Midjourney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5.06
11P 미리보기
프롬프트 구조와 길이에 따른 이미지 품질 인식 차이 분석 - 생성형 AI 미드저니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 81호 / 125 ~ 135페이지
    · 저자명 : 문수민

    초록

    본 연구는 이미지 생성형 인공지능(AI)인 미드저니(Midjourney)를 활용하여, 프롬프트의 구조와 길이(단어 수 기준)가 이미지 출력 품질과 사용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동일한 주제와 조건하에 단어 수를 기준으로 A군(10~25단어), B군(26~50단어), C군(51~75단어), D군(76~100단어)의 네 실험군을 구성하고, 사물, 인물, 풍경의 세 가지 주제에서 총 12개의 이미지를 생성하였다. 이후 시각디자인 전공자 및 일반인을 포함한 82명의 응답자가 그래픽 요소, 컬러, 레이아웃, 선호도 등의 기준으로 각 이미지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사물 주제에서는 C군의 이미지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인물과 풍경 주제에서는 가장 많은 서사와 묘사 요소가 포함된 D군의 이미지가 가장 높은 품질과 선호도를 보였다. 이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과도한 프롬프트는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통념과는 상반된 결과로, 이미지 생성에 있어 보다 풍부한 텍스트 정보가 시각적 완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프롬프트 설계에 있어 단순한 키워드 나열이 아닌, 맥락성과 묘사적 서사가 포함된 긴 프롬프트가 오히려 이미지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자인 실무 및 교육에서 프롬프트 전략 수립의 실증적 기반을 제공하며, 프롬프트 길이에 대한 재고와 새로운 설계 지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the structure and length (word count) of prompts affect image output quality and user preference using the generative AI platform Midjourney. Four experimental prompt groups were constructed based on word count: Group A(10~25words), Group B(26~50words), Group C(51~75words), and Group D(76~100words). Images were generated for three themes—object, portrait, and landscape—resulting in a total of 12 images. A total of 82 participants, including visual design majors and general users, evaluated each image based on graphic quality, color harmony, layout composition, and overall prefere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Group C received the highest scores in the object category, while Group D—featuring more narrative and descriptive content—was rated highest in both portrait and landscape themes.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commonly held assumption that overly lengthy prompts degrade image quality, suggesting instead that richer textual information can enhance visual completeness. This study proposes that prompt strategies emphasizing contextual depth and descriptive storytelling, rather than simple keyword listings, can positively influence image quality. These results offer empirical insight into prompt design practices, and highlight the need to reconsider prompt length and provide new design guidelines for AI-assisted content creation and design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