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 모음 포먼트와 해금 포먼트의 비교를 통한 공감각적 색상 상징성 연구 (A study on Synesthetic Color Symbolism through Comparison of Female Vowel Formants and Haegeum Formant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4.06
25P 미리보기
여성 모음 포먼트와 해금 포먼트의 비교를 통한 공감각적 색상 상징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학학회
    · 수록지 정보 : 音.樂.學 / 32권 / 1호 / 51 ~ 75페이지
    · 저자명 : 고수진

    초록

    모든 악기의 소리는 그 악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의 포먼트(Formants)가있다. 악기 소리 뿐만 아니라 사람의 목소리 ‘모음’도 포먼트로 나타낼 수 있는데, F1은 턱벌림의 위치, 즉 모음의 개방성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F2는 혀의 전후 위치, 즉 모음의 전면성과 관련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해금과 여성 모음의 포먼트를 비교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여성 모음의 포먼트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그래프상에서 영어 모음 ‘ɑ’와한국어 모음 ‘아’를 비교해 보았을 때, F1과 F2가 다소 높은 한국어 모음 ‘아’가영어 모음 ‘ɑ’보다 더 밝다. 실제로 발음을 해보았을 때도 한국어 모음 ‘아’는 혀가 다소 앞쪽으로 나온 밝은 소리이고, 영어 모음 ‘ɑ’는 혀가 뒤로 들어간 입 안에서 나는 다소 어두운 소리이다. 공감각 예술가들의 색청 인식 결과에서 보듯이, 바이올린의 음색에서 ‘적색’을느끼는 것처럼, 같은 찰현악기인 해금에서도 ‘적색’을 느낀다 할 수 있다. 모음‘ɑ’가 해금의 음고보다는 F3, F4는 비슷하지만 F1, F2가 낮아서 다소 어두운 음색일 거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고, 실제로 한국어 모음 ‘아’보다 어두운 음색이다. 물론 ‘ɑ’와 ‘아’가 비슷한 소리이긴 하지만 한국어 모음 ‘아’가 보다 해금 음색에 가까운 음색이라는 것이다. 즉, 바이올린 음색은 영어 ‘ɑ’에 가깝고, 그와 비슷한 한국 찰현 국악기 해금은한국어 모음 ‘아’에 가까우며, 바이올린 음색보다 해금의 음색이 좀더 밝고 강하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e sound of every instrument has unique formant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at instrument. Not only the sounds of musical instruments but also the ‘vowels’ of the human voice can be expressed as formants, and F1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jaw opening, that is, the openness of the vowel. And F2 is related to the anterior-posterior position of the tongue, that is, the frontality of the vowel.
    Based on th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mants of Haegeum and female vowels is as follows.
    The formants of female vowels are analyzed as follows. When comparing the English vowel ‘ɑ’ and the Korean vowel ‘아’ on the graph, the Korean vowel ‘아’, which has somewhat higher F1 and F2, is brighter than the English vowel ‘ɑ’. When actually pronounced, the Korean vowel ‘아’ is a bright sound made with the tongue slightly forward, while the English vowel ‘ɑ’ is a somewhat dark sound made inside the mouth with the tongue turned back.
    As seen in the color perception results of synesthetes, just as one feels ‘red’ in the tone of a violin, one can also feel ‘red’ in the haegeum, a stringed instrumen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vowel ‘ɑ’ has a similar pitch in F3 and F4 compared to the haegeum, but is lower in F1 and F2, so it has a somewhat darker tone. In fact, it is a darker tone than the Korean vowel ‘아’. Of course, ‘ɑ’ and ‘아’ are similar sounds, but the Korean vowel ‘아’ is closer to the tone of the haegeum.
    In other words, the violin tone is close to the English ‘ɑ’, and the similar Korean stringed Korean instrument, Haegeum, is close to the Korean vowel ‘아’, and the tone of the Haegeum can be said to be brighter and stronger than the violin t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