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로스펙트이론의 손실회피현상과 개인투자자들의 매도행태 (Loss Aversion of Prospect Theory and IndividualInvestors’ Disposition Effec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05.04
28P 미리보기
프로스펙트이론의 손실회피현상과 개인투자자들의 매도행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학연구 / 34권 / 2호 / 603 ~ 630페이지
    · 저자명 : 김동철, 최원욱, 이윤종

    초록

    Shefrin and Statman(1985)은 투자자들이 매수가격에 비하여 현재가격이 상승한 미실현이익 주식은 매도하여 이익을실현하고 매수가격에 비하여 현재가격이 하락한 미실현손실 주식은 보유하여 손실실현을 회피하는 현상을 비대칭적 매도성향(disposition effect)으로 제시하였다. Lakonishok and Smidt(1986)는 주식시세와 거래량의 양의 상관관계, 그리고 Odean(1998)은 개인투자자들의 주식거래자료를 통하여 이익실현율과 손실실현율의 상대적 차이를 분석하여 이러한 현상을 실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투자자들의 주식매매행태에 관한 선행연구결과를 한국주식시장에 적용하여 우리나라 개인투자자들의 매도행태를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차별화하지 못한 비대칭적 매도성향의 논리적 근거를 검증하여 이 분야 연구에 공헌하고자 한다. 개인투자자들이 보유주식의 이익과 손실상황에 따라 비대칭적 매도행위를 나타내는 현상은 여러 나라의 실제 매매자료를 분석한 선행연구들의 일치된 연구결과이다. 그러나 개인투자자들의 비대칭적 매도의사결정에 대한 수렴된 연구결과가 이러한 현상을 유발하는 개인투자자들의 의사결정 휴리스틱(heuristic)을 규명하지는 못하고 있다. 프로스펙트이론에 근거한 손실회피현상과 손실주식의 상승률이 이익주식의 상승률보다 높을 것이라는 평균회귀현상에 근거한 투자자들의 편의 등이 비대칭성의 원인으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러한 근거에 대한 차별화된 설명력을 분석한 연구는아직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는 개인투자자들의 비대칭적 매도성향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적 배경을 규명하므로서 개인투자자들의 주식매매행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공헌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중요한 투자주체인개인투자자 특성에 따른 매매행태의 차이와, 급속히 중가하고 있는 온라인투자자들의 매매행태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확장하고자 한다.
    중견 증권회사를 통하여 거래하는 개인투자자들의 실제 매매자료를 분석한 결과 비대칭적 매도성향은 우리나라에서도 일반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의 주식평균보유기간은 이익실현주식이 손실실현주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으며, 이익실현율이 손실실현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비대칭적 매도성향은 주식시장이 추세적으로 하락하는 약세장에서 현저히 강하게 나타났으며, 전반적 시장추세에 따라 차별화되는 비대칭적 매도성향은 평균회귀현상으로는 설명이 어려우나 손실회피현상으로는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이러한 비대칭성의 근거로서 공통적으로 제시되었던 손실회피현상과 평균회귀현상에 대하여 본 연구는 차별화된 설명력을 제시하고 있다. 개인투자자들의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는상대적으로 주식보유기간이 긴 투자자들과 대규모 투자자금을 운용하는 투자자들의 경우 높은 비대칭적 매도성향을 나타냈으나, 거래매체인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차이와 거래빈도는 비대칭적 매도성향과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We explore the well-known behavioral heuristic, the disposition effect. The disposition effect refers to the tendency to sell stocks that have appreciated in price, winners, and the reluctance to sell those that have depreciated below their purchase price, losers. Previous studies in behavioral finance have documented the existence of the disposition effect in laboratory experiments, real world environments, and various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uch an asymmetric investor behavior also exists in the Korean stock market and to extend the existing literature by distinguishing the competing explanations of such an behavior in sales decisions. While the question of whether there is a disposition effect has been settled, the question of why there is such an effect in the first place has been neglected in prior studies. Understanding what derives the disposition effect might help us understand better individual investors’ decision making processes of stock sales. The existing literature attributes the disposition effect to mean reversion or loss aversion, but it fails to distinguish explanatory powers between them.
    Mean reversion, which is a bias in return expectations, implies that investors expect lower returns for stocks above average returns and the converse holds for stocks below average returns. Mean reversion implies the negative autocorrelation of returns. If investors act on such biased expectations of future returns, it results in the disposition effect. When an investor expects lower returns after high returns, he is more likely to sell winners. When an investor, on the contrary, expects higher returns after lower returns, he is more likely to hold on to losers.
    Another more widely cited explanation for the disposition effect is loss aversion which is based on the prospect theory’s asymmetric value function. Loss avers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s of the prospect theory. Loss aversion posits that investors have the tendency to seek risk when faced with possible losses, and to avoid risk when a certain gain is possible. Such an asymmetric value function around a reference point induces investors not to sell losing stocks.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investors do indeed hold on to losers and sell winners.
    Once the disposition effect is confirmed in the Korean stock market,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effect is prevalent, and what investor characteristics are correlated with the bias. Our secondary objective is to identify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isposition effect and explain this with underlying investor characteristics. Building on the findings in the existing literature, we hypothesize that investors’ trading experience, holding period, investment amount, and trading vehicle are responsible in part for the variation in individual disposition effect.
    The data used in our research contains trading records of 10,000 individual investors randomly selected from a medium-sized discount brokerage firm between 2001 and 2003. Our result confirms that individual investors in the Korean stock market are subject to the disposition effect. Our result also suggests the disposition effect is more pronounced in downward markets than in upward markets. Loss aversion can explain the differential disposition effect depending on the market directions, but mean reversion cannot. We propose that loss aversion is the more appropriate decision heuristic that represents the underlying processes of individual investors’ sales decision.
    Analysis of individual differences shows mixed results. Consistent with our prediction, investors who hold stocks relatively longer show less disposition effect. This implies that the disposition bias ameliorates over time. In oth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wever, we fi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or the opposite results to what we predicted. Trading frequency as a proxy of trading experience and online vs. offline variable provi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s for the disposition bias. Traders with larger investment tend to show more pronounced disposition eff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