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적 기록 - 〈박하사탕〉을 중심으로 (A Cinematic Record of A Historical Trauma -Focusing on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19.06
28P 미리보기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적 기록 - 〈박하사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62호 / 327 ~ 354페이지
    · 저자명 : 이다운

    초록

    국가가 국민을 살육할 수 있다는 충격적 사실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한 수많은 이들에게 광주 사건은 여전히 거대한 트라우마로 잔존한다. 80년 5월의 광주에서 어떠한 일들이 발생했는지를 철저하게 밝혀내기까지 광주 사건의 실체와 그 후유증으로서의 트라우마적 상흔을 묵과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고는 80년 5월 광주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이 그것을 체험한 인간에게 어떠한 트라우마를 남겼는지를 보여주는 <박하사탕>을 영화가 개봉한 지 20여 년이 지난 현재 또다시 조명하고자 한다.
    <박하사탕>은 역행하는 기차를 매개로 주인공 영호의 20년 인생사를 추적해 가는 플래시백 구조를 통해 역사적 트라우마의 잔인성을 심도 있게 그려낸다. 역사적 트라우마를 경험하기 이전의 영호는 여리고 순박한 소년에 가깝다. 그러나 광주 항쟁의 진압군으로 선발된 영호는 실수로 여고생을 살상하게 되고 그로 인해 트라우마를 체험한 존재로 변질된다. 그 결과 영호는 타인을 파괴했다는 죄의식을 갖게 되며 죄의식은 자기 징벌의 욕망으로 이어진다. 영호는 스스로의 삶을 파괴하는 동시에 최대 욕망인 순임을 포기함으로써 자기 징벌에의 욕망을 충족하고자 한다. 그러나 치료되거나 완화되지 않고 끝없이 존재하는 트라우마로 인해 자기 파괴를 선택했던 영호의 15년은 필연적으로 죽음을 향하고 있었다. 결국 영호는 파괴의 완료를 선포하는 자살이라는 마지막 선택을 결심한다.
    영호의 삶은 역사적 트라우마가 한 개인을 어떻게 철저하게 파괴하는지를 보여주는 명징한 증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호의 삶은 한 개인의 삶이 아닌 역사와 사회의 폭력에 희생된 존재 전체를, 영호의 죽
    음은 그들의 떨칠 수 없는 거대한 아픔을 표상한다. 곧 영호의 죽음은 경험의 중량과 관계없이 역사의 상흔을 소유한 채 살아가고 있는 모두의 비극인 것이다. 이처럼 <박하사탕>은 역사적 트라우마를 영화적으로 기록함으로써 역사적 트라우마의 피해자를 이해하고 기억할 만한 하나의 허구적 사건이 되어준다.

    영어초록

    The Gwangju event still remails as a huge trauma to numerous people, who indirectly and directly experienced the shocking fact that the country could massacre its people. It is hard to overlook the nature of the Gwangju event and its traumatic scar as an aftereffect until we thoroughly uncover the things that happened in Gwangju in May, 1980. For this reason, this paper aims to shed new light on <Peppermint Candy> now after 20 years to see the aspects of the trauma to humans, who experienced the historical event in Gwangju in May, 1980.
    <Peppermint Candy> describes the cruelty of the historical trauma through a flashback structure tracking the 20-year life history of Young-ho, by the medium of a train moving backwards. Before experiencing the historical trauma, Young-ho was approximate to a delicate and naive boy. But Young-ho, selected as a solider to quell the Gwangju Uprising, kills a high school girl by mistake and that transforms him to a human with a traumatic experience. As a result, Young-ho becomes seized with guilt about destroying other person and the sense of guilt leads to a desire for self-punishment. Young-ho strives to gratify his desire for self-punishment by destroying his life by himself and giving up Soon-im, who is the biggest object of desire, at the same time. However, choosing self-destruction due to the endless traumatic scar and sense of guilt, which is neither cured nor relieved, the past 15-year life of Young-ho heads for death, necessarily. In the end, Young-ho makes a last decision to commit suicide, which means he declares the completion of destruction.
    Young-ho’s life is clear evidence demonstrating how the historical trauma completely destroys an individual. Thus Young-ho’s life represents the whole existence, sacrificed by the violence of history and society, not a personal life, and Young-ho’s death represents a huge sorrow that they can never forget. In other words, Young-ho’s death refers to a tragedy of everyone living with the historical scar, regardless of the weight of experience. As stated above, <Peppermint Candy> serves as a fictional event to understand and remember the victim with a historical trauma by recording a historical trauma in a cinematic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