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청산리전투의 재현 -독립기념관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The Reproduction of Battle of Cheongsanri based on History and Culture Content -With a focus on the case of exhibitions i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15 최종저작일 2020.12
30P 미리보기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청산리전투의 재현 -독립기념관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05호 / 361 ~ 390페이지
    · 저자명 : 조은경

    초록

    본 연구는 독립기념관 사례를 중심으로 상설전시관과 특별기획전, 그리고 체험전시물과 영상콘텐츠에서 청산리전투가 어떻게 전시되는지 살피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독립기념관은 개관 이래 현재까지 상설전시관 제5관에서 청산리전투를 전시해왔다. 그런데 청‘10일 간 전투’로 언급하고 지휘관 등 인물에 주목하는 등 청산리전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방식과 달랐다. 개별 전투의 공간에 주목했지만 상세한 설명이 없었고 동일한 사실을 전시에서 다르게 언급한 경우도 있었다.
    2020년 독립전쟁 100주년을 맞아 개최된 특별기획전에서는 독립전쟁에 참여한 평범한 사람에 주목하고 수기, 회고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상설전시관과 차별화했다. 이러한 방식은 관람객들의 공감을 얻었지만 역사적 사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은 아니었다. 독립전쟁 재현모형이나 독립전쟁을 주제로 한 체험전시물, 영상콘텐츠는 청산리전투를 재현한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전시물의 배치 순서와 상황 설정, 독립전쟁 가운데 일반에 가장 널리 알려진 청산리전투의 ‘대중성’ 등으로 인해 관람객이 이를 청산리전투로 ‘상상’했을 개연성이 높았다.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청산리전투가 가진 상징성을 고려할 때 독립기념관 전시에서 청산리전투)의 내용은 다소 충실하지 못하다는 인상이 든다. 다뤄지는 내용도 전투의 승패나 전과 등을 강조하거나 전투 과정 등을 재현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여기에는 청산리전투에 대한 연구 공백이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청산리전투와 관련된 연구가 심화되고 ‘실체적 진실’이 새롭게 밝혀져 이를 토대로 전시도 진일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ways that Battle of Cheongsanri(靑山里戰鬪) was exhibited at permanent exhibition halls, specially planned exhibitions, experiential exhibits and video content with a focus on the case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trying to figure out its characters and implications. Since its opening,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has run exhibitions about Battle of Cheongsanri at Hall 5 that is a permanent exhibition hall. These exhibitions, however, offered different explanations from common approaches to the battle by describing it as a "ten-day battle" in Qing and focusing on figures including commanders. Even though they paid attention to the spaces of individual fights, they provided no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hem and even mentioned the same facts differently in some cases.
    A special exhibition was planned in 2020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Independence War. It was differentiated from the permanent exhibition by focusing on ordinary people that fought in Independence War and making active use of memoirs and recollections. This approach earned sympathy from viewers, but they offered no specific explanations about historical facts. The models reproducing Independence War and the experiential exhibits and video content on the topic of the war were not exactly the reproduction of Battle of Cheongsanri. It was, however, highly likely that viewers "imagined" the battle after looking at these exhibits based on their arrangement order, setting of situations, and "popular appeal" of the battle, which is the most well-known battle in Independence War.
    Given the symbolism of Battle of Cheongsanri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the content about the war leaves some room for improvement at the exhibition i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It put an emphasis on the victory or defeat and military achievements of the battle and reproduced the battle process in most cases. One of the contributing factors here is the gap in the research of the battle. In the future, exhibitions about the battle will hopefully make progress based on the profound research of the battle and "substantive truth" uncovered in th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전